566kg 괴물처럼 거대한 몸집…'바다의 제왕'으로 불리는 멸종위기 한국 동물
2025-05-19 00:05
add remove print link
수컷이 여러 마리 암컷 거느리는 일부다처제 형성

바다 동물인 큰바다사자는 물개과 바다사자아과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로 '바다의 제왕'으로 불릴 만큼 거대한 몸집을 자랑한다.
큰바다사자는 시베리아 연안, 캄차카반도, 베링해 등 북태평양 한대 해역에 주로 서식하며 한국에서는 동해, 울릉도, 독도, 제주도 연안에서 드물게 관찰된다. 2012년부터 환경부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돼 보호받고 있으나, 무분별한 포획과 서식지 감소로 전 세계적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1970년대 이후 북태평양 알류샨 열도에서 70~80%가 줄어들었으며 한국에서는 어획 그물에 의한 질식이나 선박 충돌로 사체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큰바다사자는 몸이 거대하고 강인하며 머리와 주둥이가 크고 넓은 것이 특징이다. 성숙한 수컷은 두개골 정수리에 볏 모양의 돌출부가 있어 암컷과 구분되며 목과 어깨 부근에 긴 갈기털이 발달한다.
큰바다사자 수컷의 평균 몸길이는 2.8m, 체중은 약 566kg으로 거대한 몸집을 지녔다. 암컷은 평균 몸길이 2.3m, 체중은 약 273kg으로 상대적으로 수컷보다는 몸집이 작다.

큰바다사자의 새끼는 흑갈색이나 성장하며 코르크색으로 변하고 가슴과 배 부분은 색이 짙어진다. 외부 귓바퀴와 긴 앞지느러미 발을 이용해 육지에서 걷거나 헤엄칠 때 앞지느러미를 사용하며 물개와 달리 긴 목과 바깥귀를 가진다.
큰바다사자의 주요 서식지는 암초나 섬이다. 번식기인 5월에는 바닷가나 외딴섬에 모여 한 마리 수컷이 여러 마리 암컷을 거느리는 일부다처제를 형성한다. 한 마리의 수컷이 10여 마리의 암컷과 짝짓기를 하며 암컷은 출산 후 1~2주간 새끼를 돌본 뒤 먹이 사냥을 위해 바다로 나간다. 착상 지연 현상을 통해 먹이가 풍부한 계절에 새끼를 낳아 생존율을 높인다.
큰바다사자의 주요 먹이는 물고기, 두족류, 조개류, 새우류, 게류 등 다양하며 야행성으로 밤에 사냥하고 육지에서 잠을 잔다. 천적은 주로 백상아리, 청상아리 등 대형 상어다.
큰바다사자의 개체 수 감소는 주로 인간 활동에 기인한다. 과거 어업으로 인한 직접 포획, 주요 어류 감소, 그물에 걸려 익사하는 혼획이 주요 원인이었다. 또 연안 개발로 서식지가 줄어들고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과 먹이원의 변화도 위협 요인이다.

한국에서는 2012년 울릉도, 2017년 강릉, 2019년 부산, 2023년 가거도와 통영, 2024년 부산~울산 연안에서 큰바다사자가 관찰됐으나 이는 북태평양에서 남하한 방랑 개체로 추정된다. 2021년 제주 비양도에서 부상으로 죽은 암컷은 골절 흔적과 호흡 및 먹이 섭취 어려움으로 폐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큰바다사자는 해양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먹이사슬 균형과 해양 건강성을 상징한다. 이를 보호하기 위해 2007년 해양수산부는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보호대상 해양생물로 지정했다. 무허가 포획 시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 벌금이 부과된다. 그러나 혼획, 선박 충돌, 플라스틱 오염 등 큰바다사자에 대한 위협은 여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