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남성보다 무겁다…수박보다 훨씬 큰 초대형 '괴물 과일' 정체

2025-05-16 00:05

add remove print link

나무에서 자라는 과일 중 세상에서 가장 큰 과일

잭프루트를 가까이서 촬영한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Valentina De Menego-shutterstock.com
잭프루트를 가까이서 촬영한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Valentina De Menego-shutterstock.com

잭프루트는 나무에서 자라는 과일 중 세상에서 가장 큰 과일로 수박보다 훨씬 큰 크기와 독특한 특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뽕나무과에 속하는 열대 과일이다.

잭프루트는 주로 인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의 열대 기후 지역에서 재배되며 최근에는 아프리카와 중남미 일부 지역에서도 재배된다. 잭프루트는 크기와 맛, 영양, 다양한 활용도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는 대형 과일이다.

잭프루트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보다 거대한 크기다. 나무에서 자라는 과일 가운데 세상에서 가장 크다. 다 익은 잭프루트는 길이가 무려 30~100cm, 무게는 평균 10~50kg이며 일부 큰 품종은 건장한 성인 남성 몸무게인 80kg을 초과한다. 이는 일반 수박(5~10kg)보다 훨씬 크다. 그야말로 초대형 과일이다.

잭프루트의 외피는 두껍고 단단하며 녹색에서 노란빛을 띠는 가시 같은 돌기로 덮여 있다. 익을수록 외피는 부드러워지지만 칼이나 도구로 까야 한다. 내부는 노란 과육과 큰 씨앗으로 구성되며 과육은 섬유질이 풍부하고 달콤하다.

잭프루트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잭프루트는 나무에서 자라는 과일 중 세상에서 가장 큰 과일로 수박보다 훨씬 큰 크기와 독특한 특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 hatsadin klinphitank-shutterstock.com
잭프루트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잭프루트는 나무에서 자라는 과일 중 세상에서 가장 큰 과일로 수박보다 훨씬 큰 크기와 독특한 특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 hatsadin klinphitank-shutterstock.com

잭프루트의 맛은 익은 정도에 따라 다르다. 완전히 익은 잭프루트는 망고, 파인애플, 바나나가 섞인 듯한 달콤한 맛으로, 디저트나 스무디로 즐긴다. 덜 익은 잭프루트는 단단하고 중성적인 맛을 가져 채식주의자나 비건 식단에서 고기 대체재로 사용된다. 풀드 포크나 치킨 같은 질감을 제공해 샌드위치, 타코, 커리 등에 활용된다. 잭프루트는 생으로 또는 조리해 먹는 다재다능한 과일이다.

영양 면에서 잭프루트는 비타민 C, 비타민 A, 칼륨, 마그네슘, 식이섬유가 풍부하다. 식이섬유는 소화를 돕고 장 건강을 개선하며 항산화 물질은 면역력 강화와 염증 감소에 기여한다. 잭프루트의 씨앗은 단백질과 탄수화물이 풍부해 볶거나 삶아서 견과류처럼 먹는다. 다만 칼로리가 높아 과다 섭취 시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으니 적절한 양을 먹는 게 좋다.

잭프루트 재배는 열대 기후에 적합하며 나무 한 그루에서 연간 100~200개의 열매를 수확한다. 나무는 10~15m까지 자라며 열매는 줄기나 큰 가지에 열린다. 병충해에 강하고 비용이 적게 들어 농부들에게 인기가 있다. 그러나 신선한 상태로 보관 기간이 짧아 보통 통조림, 건조 과일, 잼 등으로 가공된다.

잭프루트는 다룰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자를 때 나오는 끈적한 수액은 피부나 옷에 묻으면 잘 지워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기름을 바르거나 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알레르기 반응 가능성도 있으므로 처음에는 소량 섭취를 권장한다.

잭프루트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Akuiseng-shutterstock.com
잭프루트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Akuiseng-shutterstock.com

인도에서는 잭프루트를 '가난한 사람들의 고기'로 불린다. 저렴하고 영양이 풍부해 식량 부족 해결에 기여한다. 스리랑카에서는 국가 과일로 지정되었으며 힌두교 의식에서 제물로 사용된다.

다재다능한 대형 과일 잭프루트는 환경적으로도 이점이 있다. 잭프루트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토양 침식을 방지하며 고기 대체재로 사용돼 온실가스 배출을 줄인다. 이는 잭프루트가 지속 가능한 식량 자원으로 주목받는 이유다.

유튜브, 푸디타임
home 손기영 기자 sk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