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우주특구’ 출범…민간 중심 실증공간으로 우주산업 새 장 연다

2025-05-21 12:26

add remove print link

고압가스 실증 등 규제 유예 통해 기술혁신·사업화 촉진 기대
2025년부터 본격 운영…생산유발 675억·고용 389명 효과 전망

‘대전 우주특구’ 출범. 이해를 돕기위한 <자료사진> / 뉴스1
‘대전 우주특구’ 출범. 이해를 돕기위한 <자료사진> / 뉴스1

[대전=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뿌리이자 과학수도로 불리는 대전이 ‘대전 우주기술 연구·활용 특구’ 지정으로 민간 중심 우주산업 실증 도시로 도약한다. 대전시는 5월 21일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제15차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2025년도 규제자유특구로 ‘대전 우주특구’가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특구는 대전시가 기획을 총괄하고 대전테크노파크,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등 주요 기관이 협력해 추진하는 민·관 공동 프로젝트다. 항우연은 실증을 총괄하고, 테크노파크는 참여기업 지원과 운영을 맡는다. 민간기업은 우주 부품의 개발, 검증 등 실증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특구는 유성구와 대덕구 일원 약 515만㎡ 규모로 조성되며, 2025년 6월부터 2029년 12월까지 간 운영된다. 총 194억 원이 투입되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AIST 등 11개 기업·기관이 참여해 고압가스 기반 우주추진 부품의 제작, 시험, 인증을 전 주기 실증할 예정이다.

특히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 기존 법규 일부를 유예하거나 완화해, 기존 국가 중심의 제한된 시험 환경을 넘어 실 환경에서 기술을 검증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기술 혁신은 물론, 중소·중견기업의 사업화 진입장벽을 낮추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구 운영에 따라 2029년까지 생산유발 효과 약 675억 원, 고용창출 389명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예측되며, 2030년까지 누적 1조 3천억 원 규모의 생산 유발 효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

대전시는 이번 특구 지정을 계기로 ‘2030 대전 우주산업 육성 종합계획’과 연계해 우주추진 기술 원천 연구 및 전문 인력 양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우주산업 클러스터의 중심 도시로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우주도시로 발돋움하겠다는 복안이다.

대전시, 민간 주도 우주선 개발 시대 진입 / 대전시
대전시, 민간 주도 우주선 개발 시대 진입 / 대전시
home 양완영 기자 top032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