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침하 91% 원인은 노후 하수관…대전시, 2천억 투입 ‘지반 안전망’ 강화

2025-05-21 12:41

add remove print link

GPR 전면 도입·시 전역 606km 선제 탐사 실시
2026년부터 노후 상하수관 298km 정비…사고조사위도 구성

싱크홀 자료사진 <강동구 대형 싱크홀> / 뉴스1
싱크홀 자료사진 <강동구 대형 싱크홀> / 뉴스1

[대전=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대전시가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지반침하 사고에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에 나선다.

최근 5년간 발생한 지반침하 32건 중 91%가 노후 하수관 파손에 따른 사고로 확인되면서, 시는 원인 제거와 예방 중심의 대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우선 단기 대책으로 시는 올해부터 2025년 12월까지 14억 원을 투입해 시 전역 하수관로 578km와 교통량이 많은 지하차도 28km 구간을 대상으로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실시한다. 법적 기준을 상회하는 선제적 조치로, 사고 우려 지점의 공동(空洞)을 조기 탐지해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대전시, 2천억 투입 ‘지반 안전망’ 강화 / 대전시
대전시, 2천억 투입 ‘지반 안전망’ 강화 / 대전시

아울러 추경 예산 2억 원을 확보해 인명피해 우려가 있는 지역과 대규모 공사장 주변에 대해 수시 탐사도 병행한다. 연간 단가 계약을 통해 긴급 상황 시 즉각 대응 가능한 체계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민간 굴착공사와 관련해서도 GPR 탐사 의무화를 추진한다. 대규모 굴착공사 인허가 시 착공 전·중·후와 우기 전후 등 연 2회 이상 탐사를 조건으로 부여해 민간 부문에서도 안전 의무를 강화했다. 이는 서울·부산 등지에서 발생한 대형 침하 사고를 교훈 삼은 제도적 조치다.

중장기 계획으로는 2026년부터 2,043억 원을 투입해 노후 상·하수관로 298km를 단계적으로 정비한다. 이를 통해 지반침하의 근본 원인인 노후 관로 문제를 해소하고, 장기적인 지반 안정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또한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분석과 복구를 위해 ‘지반침하 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구청, 시청,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과 연계해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반침하는 시민 안전을 직접 위협하는 중요한 사안”이라며 “위험을 사전에 탐지하고 원인을 제거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어 “도로 꺼짐이나 균열 등 이상 징후 발견 시 시민들의 적극적인 신고를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home 양완영 기자 top032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