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혐의' 한덕수·이상민 소환…경호처, 윤 전 대통령 비화폰 기록 원격삭제 정황

2025-05-26 14:54

add remove print link

경찰,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소환 조사

12·3 비상계엄 사태 수사를 진행 중인 경찰이 26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을 다시 불러 조사에 착수했다. 경찰이 대통령경호처에서 입수한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영상을 분석한 결과, 두 사람의 기존 진술 내용과 실제 상황 사이에 차이점이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 / 뉴스1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 / 뉴스1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단장 백동흠 안보수사국장)은 이날 오전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청사에서 진행된 정례 브리핑에서 "오전 10시부터 한 전 총리와 이 전 장관을 소환하여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보도된 내용이나 (국회·헌법재판소) 증언, (수사기관) 진술 등과 다른 부분이 있어 이를 확인하는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위치한 대통령 안전가옥(안가) CCTV 영상 확보 작업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계엄 선포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 오후 7시쯤 조지호 당시 경찰청장과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을 안가로 소집하여 국회 봉쇄 및 국회의원 체포 등을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한 계엄 선포 익일인 12월 4일에는 이 전 장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완규 법제처장,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 등이 안가에서 회동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계엄 관련 법적 대응 논의'가 이루어졌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특별수사단은 이 전 장관의 단전단수 지시 의혹과 내란 혐의 등을 수사하면서 안가 CCTV 압수수색 영장을 세 차례 신청했으나 모두 검찰의 반려 결정을 받았다. 하지만 이후 경호처가 영장 없이도 경찰에 자료를 임의제출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하면서 상황이 전환됐다.

경호처는 그동안 특별수사단의 대통령실 및 안가 압수수색을 여러 차례 저지해왔으나, 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이 '연판장' 사태로 사퇴한 이후 협조 기조로 변화한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특별수사단은 경호처 비화폰 서버 분석 과정에서 증거 인멸 혐의를 포착해 수사에 나섰다. 지난해 12월 6일 윤석열 전 대통령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 등 3명의 비화폰 정보가 원격으로 삭제된 흔적을 확인한 것이다.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증거 인멸 혐의와 관련해 수사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으로 누가 삭제를 지시하고 실행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대상을 특정하지 못한 상황이다.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일반적인 휴대전화와 비교해보면 초기화로 보면 된다"며 "서버에 접근해서 삭제한 것이다. 대통령 경호처에서 (기록 삭제를) 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별수사단은 삭제된 비화폰 정보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사용자 관련 정보'라고만 밝히며 상세한 언급을 피했다. 현재 경호처로부터 업무용 휴대전화와 비화폰 등 총 19대의 휴대전화를 제출받아 포렌식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내란 혐의와 관련해서 지난해 3월 1일부터 비화폰 서버 복구가 완료됐고 임의제출로 확보할 예정"이라며 "(재판 중인) 법원에서 필요하다고 하면 제출에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은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및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 5차 공판에 출석했다. 이 전 장관의 경우 계엄 당시 소방청에 언론사 단전·단수를 지시한 혐의와 관련한 조사도 함께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home 윤희정 기자 hjyun@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