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뜨물로 세수하면 피부 맑아져…다만 '이것' 안 지키면 전혀 효과 없다

2025-06-11 21:38

add remove print link

쌀뜨물, 피부에 숨겨진 천연 보습제의 비밀
일상 속 미용 비법, 쌀뜨물의 놀라운 피부 효과

밥짓기 전 흘려보내던 쌀뜨물이 피부 미용에 좋다는 이야기가 오래전부터 전해져 왔다. 과연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을까?

미백 효과의 정체는 비타민과 미네랄

쌀뜨물에는 쌀에서 빠져나온 비타민 B군, 미네랄, 아미노산, 전분 등이 포함돼 있다. 이들 성분은 보습과 진정, 피부결 정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쌀뜨물 속 나이아신아마이드 유사 성분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해 피부 톤을 환하게 만드는 데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전문적인 화장품 성분처럼 강력하거나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자연 유래 성분인 만큼 꾸준히, 장기적으로 사용할 때 완만한 변화를 느낄 수 있다.

맑은 물이 아니라 흐린 물이 핵심

쌀뜨물이라고 해서 아무 물이나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처음 씻어낸 쌀뜨물은 먼지나 이물질이 섞여 있을 수 있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보통 두 번째나 세 번째 씻은 물이 가장 적당하다. 이때 물이 완전히 맑아질 때까지 씻기보다는 살짝 뿌연 상태로 남겨두는 것이 좋다. 이 안에 쌀의 영양 성분이 가장 많이 녹아 있기 때문이다. 너무 맑은 물은 미용에 쓰기엔 영양 성분이 부족하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KUMATO-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KUMATO-shutterstock.com

사용 전 숙성시키면 효과가 올라간다

쌀뜨물은 그냥 사용하는 것보다 냉장 보관 후 하루 정도 숙성시켰을 때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도 있다. 하루 숙성된 쌀뜨물은 유산균이 일부 생겨나 피부에 순하게 작용할 수 있다. 단, 장시간 상온에 방치하면 세균이 증식할 수 있으니 냉장 보관을 지켜야 하며, 보관 기간도 2일을 넘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 냄새가 나거나 점성이 생긴다면 바로 폐기해야 한다.

세안 전 마지막 단계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쌀뜨물로 세수할 때는 일반 세안 후 마지막 단계에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먼저 평소처럼 클렌저로 얼굴을 깨끗하게 씻은 다음, 쌀뜨물을 덜어 얼굴에 가볍게 두드리며 흡수시키거나, 얼굴을 헹구듯 여러 번 감싸주면 된다. 세안 후 바로 수분크림이나 보습제를 바르면 쌀뜨물의 보습 효과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 쌀뜨물을 너무 오랫동안 얼굴에 올려두면 오히려 피부가 당기거나 건조해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민감성 피부는 패치 테스트가 우선

쌀뜨물은 천연 성분이지만 모든 피부에 잘 맞는 것은 아니다. 특히 민감성 피부는 전분이나 잔여물에 반응해 트러블이 생길 수 있다. 사용 전에는 팔 안쪽이나 턱 밑 등에 살짝 발라 하루 정도 반응을 보는 것이 안전하다. 또한 여드름 피부는 잔여물 속 당분이나 유기물로 인해 오히려 모공이 막힐 수 있으므로 주 1~2회 정도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KUMATO-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KUMATO-shutterstock.com

쌀뜨물만으로 미백을 기대하는 건 무리

피부가 맑아 보이게 할 순 있지만, 쌀뜨물 하나로 피부톤을 획기적으로 바꾸긴 어렵다. 전문적인 미백 기능성 제품처럼 고농축된 유효 성분이 들어 있는 것도 아니고, 자외선 차단 효과 역시 없기 때문이다. 쌀뜨물 세안은 피부결 정돈과 보습, 진정 정도의 효과를 기대하며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꾸준히 자외선을 차단하고, 식습관과 수면, 스트레스를 관리해야 피부 본연의 톤이 유지될 수 있다.

생활 속 활용도는 충분히 높다

쌀뜨물은 비용 부담이 없고,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세수 외에도 발팩이나 목욕물에 섞어 활용할 수 있어 생활 속 미용 관리용으로는 꽤 유용하다. 단, 위생적인 보관과 사용법만 지킨다면 말이다. 자극이 적은 자연 유래 관리법을 찾는 사람에게는 꾸준한 루틴으로 안착시킬 만한 선택이 될 수 있다. 쌀뜨물이 미백의 지름길은 아니지만, 맑고 촉촉한 피부의 작은 습관이 될 수는 있다.

home 위키헬스 기자 wikihealth75@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