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소환’ 놓고 신경전 계속…특검 “오늘도 불응 시 재통보”
2025-07-01 07:25
add remove print link
尹측 “출석 통보가 곧 출석 의무를 의미하진 않는다”
내란 혐의를 수사 중인 특검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오늘(1일) 다시 출석하라고 통보했지만, 실제 조사가 이뤄질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특검은 당초 6월 30일 오전으로 예정했던 윤 전 대통령의 2차 출석 일정을 하루 미뤄 7월 1일로 변경했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은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특검은 더 이상의 일정 변경은 어렵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며, 오늘 출석하지 않을 경우 곧바로 새로운 날짜를 다시 통보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TV 보도에 따르면 앞서 1차 대면 조사 직후, 윤 전 대통령 측은 “충분한 협의 없이 하루 만에 재출석을 요구한 것”이라며 기일 변경을 요청했다. 이에 특검은 “수사 일정은 수사 주체가 정하는 것”이라면서도 하루 미뤄 출석일을 1일로 조정했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 측은 다시 이번 주 토요일 이후로 일정을 미뤄달라고 요청했고, “출석 통보가 곧 출석 의무를 의미하진 않는다”며 한발 물러서지 않았다.
특검은 일정 재조정은 없다고 못 박았다. “1일 출석에 불응할 경우 이번 주 안으로 특정 날짜와 시간을 다시 지정해 소환장을 재통보할 것”이라며 “3차 통보에도 응하지 않으면 형사소송법이 정한 마지막 단계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체포영장 재청구, 나아가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도 시사됐다.

반면 윤 전 대통령 측은 내란 재판 준비와 건강상 문제를 이유로 출석이 어렵다는 입장을 반복하고 있다.
양측의 줄다리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특검팀은 지난 주말 진행한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질문지를 보완하고 조사 순서를 조율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특검은 2차 조사를 앞두고 윤 전 대통령의 측근인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을 불러, 계엄령 관련 의혹에 대해 캐물었다. 강 전 실장은 계엄 당일 일부 국무위원들을 소집하고, 국무회의 회의록 초안 작성과 계엄 선포문 배포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