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파이브, 2025년 사무 환경 트렌드 발표
2025-07-03 11:31
add remove print link
10년간 2만 6천 기업의 운영 데이터 기반… 기업 생산성 높이는 전략 제시
이번 보고서는 10년간 2만6천여 기업의 오피스를 설계·운영해 온 패스트파이브가 축적된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오피스 환경의 표준을 새롭게 정의한 결과물이다.
보고서에서 제시한 5대 핵심 트렌드는 ▲개인화 공간과 수평형 건축 ‘그라운드 스크래퍼’ ▲조직문화 반영 복지 공간 ▲모듈형 오피스 ▲자원 재활용 중심의 친환경 공간 설계 ▲바이오필릭 디자인이다. 이는 몰입과 협업, 유연성과 지속가능성 등 기업이 직면한 주요 과제를 공간 전략으로 풀어낸 구체적인 방향성을 담고 있다.
먼저,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직장인들은 1인용 테이블, 폰부스 등 몰입이 가능한 개인 업무 공간을 선호하는 반면, 해외에서는 개방감을 높이는 수평형 건축(Groundscraper)이 오피스 디자인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해당 기업은 집중을 위한 포커싱 존과 협업을 위한 페어링 존을 함께 구성해 개인화와 개방성의 조화를 실현하고 있다. 서초 3호점은 개인화 공간과 오픈된 라운지를 길게 이어지도록 구성한 사례다.
다음으로 탕비실, 수면실을 넘어 북카페, 샤워실 등 기업 특화 복지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지 공간 확충은 중소기업에 비용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어, 이미 복지 시설이 잘 갖춰진 공유오피스를 활용하는 방식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출장이 잦은 멤버사가 많은 서울역점에는 샤워실을 구성했고, 인테리어 브랜드 하이픈디자인은 고객사 임직원을 위한 루프탑 바비큐장을 조성했다.

변화하는 대내외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TF팀 신설, 조직개편 등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듈형 오피스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해당 기업은 공사 없이 설치·철거 가능한 모듈형 벽체를 도입해 유연한 공간 구성과 소음 절감 효과를 동시에 구현하고 있다.
친환경 오피스 트렌드는 신소재보다 폐자재 재활용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다. 폐플라스틱으로 만든 사무용품, 커피찌꺼기를 활용한 안내판 등 친환경 아이디어도 마곡나루점을 시작으로 적용하고 있다.
식물 등 자연 요소를 사무공간에 반영한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은 직원의 심리 안정과 몰입도 향상에 기여한다. 패스트파이브 압구정점은 제로 에너지 건축물 승인을 받은 사례로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극 적용했다.
현재 해당 기업은 국내 최대 규모인 56개 오피스 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IT 설비, 사무가구, 복합기, 청소·총무 인력까지 포함한 통합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 고정비 부담을 낮추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더불어 ‘하이픈디자인’, ‘파워드바이패스트파이브’, ‘빌딩솔루션’ 등 공간 기획과 구축 전반을 아우르는 오피스 솔루션도 확대 중이다.
관계자는 “사무 환경은 이제 단순한 복지를 넘어 기업의 몰입과 생산성, 경쟁력을 좌우하는 전략 자산”이라며, “지난 10년 간 2만 6천여 기업과 함께 쌓아온 오피스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오피스의 기준을 제시하는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