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곡에서 다이빙하던 20대 하반신 마비...다시 되짚어 보는 안전 수칙
2025-07-12 12:00
add remove print link
계곡에서 안전을 위협하는 숨겨진 위험들
한순간의 실수가 바꾸는 피서의 운명
무더위 속 계곡은 더위를 식히기 좋은 장소지만, 자칫 잘못하면 생명을 위협하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깊이를 알 수 없는 계곡물에 무턱대고 다이빙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이다. 대부분의 계곡은 물이 맑고 바닥이 잘 보이는 것처럼 보여도, 실제 깊이는 고르지 않고 돌이 많아 안전을 장담할 수 없다.
최근 전남 광양 한 계곡에서도 다이빙을 한 20대가 머리를 크게 다쳐 하반신 마비 진단을 받았다.
수심이 얕은 줄 모르고 다이빙할 경우, 머리나 목이 바위에 부딪히며 경추 손상, 척추 골절, 심하면 전신 마비까지 발생할 수 있다.
계곡에서 다이빙을 하며 물놀이를 할 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계곡은 일반 수영장과 다르다. 비가 온 뒤 물살이 바뀌면 바닥의 돌과 모래가 이동하면서 수심과 지형이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 작년 여름엔 깊었던 곳이 올해는 얕아져 있을 수 있고, 눈에 보이지 않는 큰 바위가 생겨 있을 수도 있다. 육안으로 봐서 안전해 보인다고 해도 전날의 비나 최근의 날씨 변화로 상황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런 예측 불가능한 환경 속에서는 다이빙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만약 뛰어들기 전이라면 반드시 현지 상황을 잘 아는 사람에게 수심과 바닥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아무도 확인하지 않은 물에 무모하게 뛰어드는 행동은 절대 금물이다.

다이빙 중 특히 위험한 형태는 머리부터 뛰어드는 동작이다. 수심이 충분하더라도 바닥이 고르지 않거나 경사가 있을 경우, 머리나 목이 충격을 받기 쉬워 회복 불가능한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계곡은 바닥이 바위로 이뤄진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충돌 시 충격이 그대로 몸에 전해진다.
특히 목뼈(경추)는 충격에 매우 취약한 부위다. 작은 충돌에도 마비가 올 수 있으며, 심하면 호흡마저 멈출 수 있다. 익사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아 다이빙은 절대로 신중해야 한다. 재미와 스릴을 위해 잠깐 뛰어드는 행동이 인생을 바꾸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다이빙 전후에는 발을 딛는 곳에도 주의해야 한다. 계곡 주변 바위는 젖어 있고 이끼가 끼어 있는 경우가 많아 매우 미끄럽다. 슬리퍼를 신은 채 무리하게 바위 위로 오르거나, 젖은 돌을 밟고 다이빙하려다 미끄러지는 사고도 자주 발생한다.
이로 인해 팔, 다리 골절은 물론 머리 부위 타박상, 실족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안전한 신발을 착용하고, 바위 위를 걸을 때는 반드시 손으로 지지대를 잡거나 천천히 이동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또 아이가 있는 가족이라면 아이들이 위험한 곳에 접근하지 않도록 눈을 떼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계곡물은 여름이라 해도 수온이 낮은 편이다. 특히 갑자기 차가운 물에 뛰어들면 혈관이 급격히 수축되며 혈압이 변하고, 심장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어린이나 고혈압, 심혈관 질환이 있는 사람은 이로 인해 실신하거나 심장 이상을 겪을 수 있다.
또 근육이 수축되며 다리에 쥐가 나는 경우가 잦다. 수영 중 다리에 경련이 오면 당황해서 물에서 빠져나오지 못할 수 있고, 이때 익사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 따라서 계곡에 들어가기 전에는 반드시 가벼운 준비 운동과 스트레칭을 하고, 물에 들어갈 때는 천천히 적응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계곡에서의 다이빙 사고는 대부분 ‘설마’에서 비롯된다. 하지만 한순간의 실수가 생명을 바꾼다. 계곡은 자연의 일부이고, 그 속에는 인위적인 안전장치가 없다. 즐거운 피서가 끔찍한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기본적인 수칙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
다이빙을 하지 않는 것, 모르는 구역에 들어가지 않는 것, 구조를 요청할 수 없는 외진 장소는 피하는 것. 이 세 가지 원칙만 잘 지켜도 대부분의 사고는 예방할 수 있다. 안전은 주의로 충분하지 않다. 스스로 지키는 확고한 기준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