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피임약 골든타임은 성관계 이후 72시간…꼭 알아야 할 부작용은?

2025-07-09 14:27

add remove print link

이미 임신이 된 이후 복용하면 효과 없어

사후피임약, 정확히 알고 복용해야 안전하다.

사후피임약은 말 그대로 성관계 후 임신을 막기 위한 목적의 응급피임약이다. 일반적인 피임약과는 달리, 피임에 실패했거나 무방비 상태에서 성관계를 한 경우 등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성관계 후 72시간 이내 복용하면 착상을 방해하거나 배란을 억제해 임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국내에서는 의사 처방을 받은 이후 약국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구매 접근성을 높이자는 논의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의사의 상담 후 복용이 원칙이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생성 이미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생성 이미지

◆ 어떻게 복용해야 할까

사후피임약은 종류에 따라 1회 복용형과 2회 복용형으로 나뉜다. 1회 복용형은 한 알만 먹으면 되며, 2회 복용형은 처음 1정을 복용한 뒤 12시간 후 한 번 더 먹어야 한다. 복용 시기는 빠를수록 효과가 높기 때문에 가능한 한 성관계 직후 즉시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4시간 이내 복용 시 피임 성공률은 95%에 이르며, 72시간 이내는 약 75% 수준까지 떨어진다. 일부 약은 성관계 후 최대 120시간까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만큼 성공률은 낮아지므로 주의를 요한다.

◆ 부작용은 어떤 게 있을까

사후피임약은 고용량의 호르몬이 포함돼 있어 복용 후 일시적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메스꺼움, 구토, 피로, 두통, 가슴통증, 현기증 등이 있으며, 일부 여성은 다음 생리 주기에 변화를 경험하기도 한다. 생리 시기가 빨라지거나 지연될 수 있고, 출혈 양이나 통증에도 차이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약 복용 후 2시간 이내에 구토할 경우 약 효과가 떨어질 수 있어, 이 경우 재복용이 필요할 수 있다. 반복적인 복용은 부작용 위험을 높이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 장기 복용은 위험할까

사후피임약은 비상시를 위한 응급 피임 수단으로, 일상적인 피임 방법이 아니다. 반복해서 복용할 경우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생리 불순, 배란 장애, 자궁 내막 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여성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청소년이나 호르몬 민감성이 높은 여성은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판단이 중요하다. 피임이 필요한 상황이 자주 반복된다면 콘돔이나 경구피임약, 자궁 내 피임기구 등 다른 방법으로의 전환이 바람직하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mnimage-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mnimage-shutterstock.com

◆ 사후피임약에 대해 정확히 아는 것부터 시작해야

사후피임약은 성관계 후 임신을 피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지만, 피임 실패를 막기 위한 ‘예외적 선택’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일부에서는 사후피임약이 낙태약과 혼동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되기 전 단계를 차단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낙태약과는 전혀 다르다.

이미 임신이 진행된 경우에는 사후피임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다. 따라서 임신 가능성을 고려할 때 섣불리 의존하기보다는 예방적 피임에 집중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사후피임약은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보호하는 도구이자 응급상황에서의 중요한 선택지다. 하지만 효과와 한계를 정확히 알고, 신중하게 사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신에게 맞는 피임법을 찾아 꾸준히 관리하는 것, 그것이 건강한 성생활의 시작이다.

home 위키헬스 기자 wikihealth75@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