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퇴 없다” 이진숙, 국무회의서 쫓겨났어도 내년 8월 임기까지 버틴다며 한 말
2025-07-09 19:13
add remove print link
“남은 기간 동안 방통위 업무에 최선을 다할 것”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국무회의 배석이 제외된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하면서도, 여권에서 제기하는 사퇴 요구에는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임기가 내년 8월까지로 정해져 있는 만큼, 남은 기간 동안 방송통신위원회의 업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9일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대통령실이 자신의 국무회의 배석을 제한한 것에 대해 "국정 전반을 논의하고 주요 안건을 의결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아쉽다"고 말했다.
이어 "더 많은 기회가 있었다면 이재명 대통령에게 방통위 정상화를 요청했을 것"이라며 "그 기회가 박탈된 점이 안타깝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배석 제외 결정이 내려지기 전에 대통령실로부터 별도의 통보를 받은 적은 없다고 밝혔다. 그는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의 언론 브리핑을 통해 해당 사실을 전달받았다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방송통신위원회가 상임위원 5인 체제로 완전하게 구성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국무회의에 참석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의견을 대통령에게 직접 전달할 기회를 잃었다는 데에 거듭 아쉬움을 표했다.
그는 곧 다가올 방송통신위원회의 주요 안건도 언급했다. 오는 22일로 예정된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폐지 후속 조치와 9월 시행을 목표로 추진 중인 대량문자 전송자격인증제 등 방통위의 심의·의결이 필요한 사안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여권에서 제기되는 사퇴 요구와 관련해서는 "현행법상 제 임기는 내년 8월 24일까지"라고 말하며 "임기 동안 방통위가 충실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감사원이 최근 이 위원장의 과거 유튜브 출연 발언 등을 문제 삼아 '정치적 중립의무'를 위반하지 않도록 주의하라고 조치한 것에 대해서는 전 정부 시절 발행한 일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임명된 지 이틀 만에 탄핵이 추진돼 매우 절박한 심정이었다. 그 상황에서 몇몇 유튜브에 출연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결과가 나왔다고 해서 그것이 국무회의 배제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 위원장은 대전MBC 사장 재임 당시 법인카드를 사적으로 사용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지난 5일 경찰 조사를 받은 상황에 대해서는 "정치적 표적 수사는 아니라고 본다"며 "결국 무혐의로 결론이 날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