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코인) 리플이 계속 3달러 직전에서 막히는 이유 3가지를 알려 드립니다”

2025-07-15 19:26

add remove print link

“단순한 시장 변동성이 아닌 더 깊은 이유가 있다”

암호화폐(가상자산·코인) 리플(XRP·엑스알피)가 최근 3달러를 돌파한 이후 다시 해당 가격 아래로 하락하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 실망감과 함께 다양한 해석이 이어지고 있다.

블랙 스완 캐피털 리스트(Black Swan Capitalist) 공동 창업자인 베르산 알자라(Versan Aljarrah)는 단순한 시장 변동성이 아닌 '더 깊은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다.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한 이미지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한 이미지

XRP는 지난주부터 이어진 가상화폐 시장 전반의 상승세에 힘입어 14일(이하 한국 시각) 오후 3달러를 일시적으로 돌파했다. 이는 약 5개월 만의 일이었다.

그러나 해당 가격을 종가 기준으로 유지하거나 고정하지 못했고, 이후 다시 하락해 15일 오후 7시 기준 약 2.88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는 일주일 전 기준으로 보면 32% 넘게 상승한 수치지만, 3달러 가격대를 유지하지 못한 점은 투자자들의 불만을 부추기고 있다.

일부 XRP 지지자들은 이를 단순한 가격 조정이 아니라 의도적인 억제라고 분석한다.

알자라는 사회관계망 서비스 플랫폼 X를 통해 이러한 견해를 공유하며, XRP의 가격 억제는 우연이 아니라 고의적인 행위라고 주장했다.

그는 XRP가 기존 금융 시스템을 위협하고 구조적인 결함을 드러내며, 사기적인 관행을 방해하기 때문에 억제되고 있다고 말했다.

알자라는 XRP의 고유한 유틸리티(실사용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트코인(BTC)의 4년 주기 시장 사이클을 따른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이를 금융 시스템 전반의 구조적 조작 가능성과 연결 지었다.

이와 같은 주장은 XRP 커뮤니티 내에서 점차 힘을 얻고 있다. 많은 지지자들은 XRP가 현재의 금융 인프라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일부 세력들이 이를 전략적으로 저평가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고 믿는다.

가격 억제에 대한 이론은 주로 ▲조직적인 매매 활동이 존재한다는 주장 ▲규제 기관과의 지속적인 갈등 ▲리플(Ripple)사의 월별 XRP 토큰 유통이 시장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점 등 세 가지 요인에 집중된다.

이에 대해 리플사 최고기술책임자 데이비드 슈워츠(David Schwartz)는 기존에도 여러 차례 이 같은 주장을 부정해 왔다.

그는 커뮤니티가 지나치게 가격에 집착하고 있으며, 시장의 단기 움직임은 실제 기술적 가치와 항상 일치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XRP의 현재 가격이 그 잠재력이나 문제 해결 능력을 온전히 반영하지는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알자라는 또 다른 주장도 제기했다. 그는 XRP가 비트코인의 4년 주기에서 벗어나 '그림자 시장'이라 불리는 구조적 가격 억제 메커니즘에서 벗어날 때 비로소 진정한 가치 발견이 가능하다고 피력했다.

그는 "그때가 되면 모든 것이 끝난다"고 말하며 XRP가 외부 억제 없이 독립적인 가격 상승을 이룰 수 있는 순간이 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home 방정훈 기자 bluemoon@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