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 폭우에 무너진 제방…세종시, 복구와 제도 개선 과제 ‘시급’
2025-07-20 11:57
add remove print link
더불어민주당 세종시당 “기후위기 경고…방재체계 전면 재정비 필요”
시민 불편 여전한 가운데 피해조사·지원 행정 절차 간소화 촉구

[세종=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지난 17일 최대 300mm를 넘는 집중호우가 세종특별자치시 전역에 쏟아지면서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했다. 세종시는 19일 16시 기준으로 호우주의보를 해제했으나, 주택과 도로, 하천 등 공공시설과 사유시설의 피해는 현재도 복구가 진행 중이다. 더불어민주당 세종시당은 지난 19일 성명을 통해 신속한 지원과 행정적 대응, 근본적인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세종시의 공식 피해 집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19일 사이 평균 누적강우량은 306mm에 달하며, 지역별로는 전동면(413mm), 소정면(371mm) 등에서 특히 강우량이 높았다. 이로 인해 하천 제방 유실 65건, 주택 침수 34건, 축사 4건 등 총 192건의 피해가 발생했고, 도로 5개소가 현재까지도 통제 중이다. 광암교 붕괴를 포함한 도로 및 교량 유실 피해도 상당수 확인됐다.
세종시 재난안전대책본부는 호우주의보 발효 직후 비상 2단계로 격상하며 총 123명을 투입해 상황 관리에 나섰다. 시는 마을방송, 전광판, 문자 등을 통해 총 14회에 걸쳐 주민들에게 상황을 알렸고, 현장에는 읍면동 직원과 자율방재단 등 200여 명이 점검 및 응급조치에 참여했다.

더불어민주당 세종시당은 이날 오후 강준현 시당위원장과 시의원들이 세종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직접 방문해 대응 현황을 점검했다. 강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세종시민의 고통에 공감하며 초당적 협력을 통해 피해 복구에 총력을 다하겠다”며 “이번 수해는 단순 재난을 넘어 기후위기 시대의 경고로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시당은 ▲피해조사 및 복구 행정절차 간소화 ▲이재민 임시 주거 확대 및 취약계층 배려 ▲기후재난에 대비한 예방 중심 제도개선 등 3가지 방안을 관계 기관에 요청했다. 특히 반복되는 중소 도시 수해에 대비한 방재 체계 재정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세종시는 현재까지 155건의 피해 조치를 완료했으며, 나머지 37건은 복구 중이다. 도로와 세월교 일부는 여전히 통제되고 있으며, 마을버스 일부 노선도 우회 운행 중이다. 배수펌프장 4곳은 강우량 감소로 가동되지 않았으며, 일부 하천 수위는 여전히 경계 기준을 웃돌고 있는 상황이다.
세종시당은 “앞으로도 시 및 시의회와 협력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후속 조치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수해로 인한 인명 피해는 다행히 발생하지 않았지만, 시민들이 실질적인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체감할 수 있는 후속 조치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