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억어치나 팔린 제품도 있는데 중국산 사이비... '이것' 구매한 사람들 날벼락

2025-07-24 10:46

add remove print link

서울시, 무허가 레이저 손발톱무좀치료기 단속

홈케어 셀프치료 열풍 속에 급성장한 레이저 손발톱무좀치료기 시장에 제동이 걸렸다. 서울시가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없이 불법 제조·판매된 레이저 손발톱무좀치료기에 대한 집중 단속을 벌여 업체 5곳을 입건했다고 24일 발표했다.

무허가     레이저 손발톱무좀치료기 / 서울시
무허가 레이저 손발톱무좀치료기 / 서울시

서울시 민생사법경찰국은 가정용 셀프케어 제품으로 최근 수요가 급증한 레이저 손발톱무좀치료기를 집중단속해 식약처 의료기기 허가 없이 불법 제조·판매한 업체 5개소를 입건했다고 밝혔다.

이번 단속은 주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 중인 레이저 손발톱무좀치료기 16개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수사 결과 식약처 의료기기 허가 없이 손발톱 무좀 치료용으로 제조한 업체 1곳과 판매업체 4곳을 적발했다.

특히 이들 중 A업체는 중국산 무허가 레이저 기기를 손발톱 무좀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처럼 광고해 2년간 개당 23만 원에 2만 9000여 개를 판매해 약 66억 원에 달하는 부당이익을 취득한 것으로 드러났다.

무허가  레이저 손발톱무좀치료기를 만드는 부품 / 서울시
무허가 레이저 손발톱무좀치료기를 만드는 부품 / 서울시

레이저를 활용한 손발톱 무좀 치료법은 2015년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로 등재됐고, 손발톱 진균증(무좀) 치료가 비급여 항목으로 인정됨에 따라 피부과 병·의원에서 기존 약물치료 외에 많이 시술되고 있다. 다만 의원에서 행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는 비용이 다소 높고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이번에 적발된 업체들은 비용부담 등을 이유로 식약처 허가를 받지 않고 레이저 손발톱무좀치료기를 제조·판매했다. 또한 손발톱 무좀에 효과가 미흡함을 알면서도 소비자에게 손발톱무좀에 효과가 큰 것처럼 광고하고, 편의성과 낮은 가격을 내세워 가정에서 간편하게 이용 가능한 점을 내세우는 등 불법 광고 및 판매를 했다.

의료기기법상 의료기기는 객관적으로 질병의 진단·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의 목적 및 형태, 효과, 판매 대상과 광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해야 하는데, 이들 가정용 레이저 손발톱 무좀치료기는 명백히 의료기기에 해당해 식약처의 허가가 필요하다.

식약처 고시에 따르면 의료용 레이저 조사기는 3등급 의료기기로 분류되며, 통증 완화 등을 목적으로 방사되는 광에너지(레이저)를 피부에 쏘는 기구로 정의된다.

서울시는 무허가 손발톱무좀치료기로 피해를 입지 않으려면 제품 구매 시 한글로 '의료기기' 표시와 '품목명-품목허가번호' 등 의료기기 표시를 확인하고, 의심되는 경우 '의료기기안심책방'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민들에게 의료기기 인증여부를 확인 후 구입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면역력 및 혈액순환, 세포재생의 효과를 향상해 발톱 무좀 치료'와 같이 질병의 치료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처럼 광고하거나, 공산품에 사용하는 KC안전인증마크를 획득하면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한 제품인 것처럼 오인하게 하는 등의 광고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기기 확인은 의료기기안심책방에 접속해 알기 쉬운 의료기기 → 정보검색 → 명칭 '의료용레이저조사기' 검색을 통해 가능하다.

또한 시민들이 불법 의료기기를 발견할 경우 서울시 홈페이지 등에 신고·제보해달라고 당부했다. 결정적인 증거와 함께 범죄행위 신고·제보로 공익증진에 기여할 경우 '서울특별시 공익제보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최대 2억 원까지 포상금을 지급하고 있다.

신고·제보는 스마트폰 앱 '서울 스마트 불편신고'를 통해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후 민생사범신고 → 신고내용 작성 → 보내기 순으로 진행하거나, 서울시 홈페이지 서울시 응답소 민생침해 범죄신고센터를 통해 민생침해범죄신고 및 상담[민원신청] → 민생침해 범죄 신고센터[좌측 ‘신고하기’]로 접수할 수 있다. 전화는 120번 다산콜재단을 통해 각 수사팀으로 연결된다.

식약처 허가를 받지 않은 의료기기를 제조, 수입, 판매한 경우 의료기기법 위반으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처벌된다. 미인증 의료기기 제조·수입·판매는 의료기기법 제51조 제1항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며, 공산품을 의료기기로 오인·혼동하게 하는 광고나 의료기기 거짓·과대광고는 의료기기법 제52조 제1항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처벌된다.

김현중 서울시 민생사법경찰국장 직무대리는 "허가받지 않은 불법 의료기기는 시민 건강에 큰 위협이 되므로 제조·판매업체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불법행위 발견 시 엄중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