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전 대통령 관저·집무실에 사우나 시설 있었다"
2025-07-25 09:58
add remove print link
대통령실 관계자 밝혀... 설치 주도한 경호처, 업체에 현금 거래 요구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이용한 관저와 집무실에 사우나 시설이 있었다고 한겨레가 25일 단독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전 정부 시절 대통령경호처가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 사우나 공간을 설치하는 공사를 주도했고, 이 과정에서 경호처가 업체에 현금 거래를 요구했다. 불법 거래가 이뤄졌다면 자금 출처를 수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겨레에 따르면 경호처가 2022년 12월 초 한 인테리어 업체에 용산 대통령실 본관 5층 샤워장을 사우나로 개조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사우나는 5층 집무실과 연결된 공간에 문을 달아 설치하는 구조였다.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도록 설계한 편백나무 소재 건식 사우나였다. 내부 벽면엔 TV도 걸렸다고 한다. 업체는 그해 12월 중순까지 설계와 디자인을 마무리하고 견적으로 4500만 원(부가세 별도)을 제시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경호처 관계자가 해당 업체 대표에게 “(김용현 경호)처장이 ‘현금 3000만 원을 줄 테니 싸게 해달라고 하라’고 했다”라면서 현금 거래를 제안했다. 매출 신고를 누락해 부가세 등 비용을 줄이는 대신 공사비를 낮추려고 했을 가능성이 있다. 업체 대표는 불법으로 판단하고 공사를 거절했다.
그러자 경호처는 해당 공사를 인테리어 시공업체 ‘21그램’에 맡기겠다고 했다. 한겨레에 따르면 원래 업체가 그동안 작성한 도면과 디자인 시안을 21그램에 넘겼지만, 실제 시공은 21그램이 아닌 다른 업체가 담당했다. 21그램은 과거 김건희 여사가 운영했던 코바나컨텐츠의 전시를 협찬한 적이 있다. 대통령 관저 공사에 참여한 사실 자체가 논란이 되자 공사 업체를 교체한 것으로 보인다고 매체는 보도했다.
결국 대통령 집무실 사우나 공사는 2023년 1월쯤 원래 도면과 큰 차이 없이 완료됐다. 당시 상황을 알고 있는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겨레에 “집무실에 사우나 시설이 설치된 것은 맞다. VIP 건강관리 명목이었다. 사우나는 관저와 집무실 두 군데에 있었다”고 말했다.
현재 대통령실은 해당 공간을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 임기 중 철거됐거나 가벽 등으로 가려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겨레는 전했다.
한겨레는 경호처가 최초 설계업체에 현금 공사를 제안한 만큼 이후 실제 공사에서도 현금 거래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불투명한 자금 집행이 이뤄지진 않았는지 수사해야 한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