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관세협상을 잘한 거야? 못한 거야?” 1016명에게 물었더니...
2025-08-04 15:16
add remove print link
63.9%가 협상 결과 긍정 평가

지난달 31일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에 대해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이 긍정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는 지난 1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101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응답자 63.9%가 이번 협상 결과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답했다고 4일 발표했다. ‘매우 잘했음’은 40.5%, ‘대체로 잘했음’은 23.4%였다.
부정 평가는 32.3%였다. ‘매우 잘못했음’이 20.2%, ‘대체로 잘못했음’이 12.1%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모든 지역에서 긍정 응답이 부정보다 많았다. 특히 광주·전라 지역에서 긍정 비율이 81.5%로 가장 높았다. 이곳의 부정 응답은 15.7%였다. 경기·인천에선 긍정이 70.0%, 부정이 26.8%, 대전·세종·충청에선 긍정과 부정이 각각 60.8%와 36.7%, 부산·울산·경남에선 긍장이 60.7%, 부정이 37.4%로 나타났다. 서울에선 긍정이 56.0%, 부정이 38.9%, 대구·경북에선 긍정이 53.8%, 부정이 36.6%였다.
연령대별로는 40대와 50대의 긍정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40대의 경우 77.7%가 긍정한다고 했고 20.4%가 부정한다고 했다. 50대에선 70.6%가 긍정 반응을, 25.9%가 부정 반응을보였다. 60대에선 긍정이 67.4%, 부정이 27.0%, 70세 이상에선 긍정이 62.9%, 부정이 32.2%, 30대에선 긍정이 59.1%, 부정이 38.7%였다. 반면 18~29세에선 긍정이 41.2%, 부정이 53.8%로 부정 응답이 더 많았다.
이념 성향별로는 평가가 뚜렷하게 갈렸다. 진보층에서는 84.1%가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보수층에서는 긍정 47.8%, 부정 48.0%로 의견이 팽팽하게 갈렸다. 중도층은 긍정 61.7%, 부정 35.9%였다.
정부가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얼마나 노력했는지 묻는 질문에는 67.4%가 '노력했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매우 노력했다'는 응답이 55.1%, '어느 정도 노력했다'는 응답은 12.3%였다. '노력하지 않았다'는 부정 평가는 30.2%였다. 이 가운데 '전혀 노력하지 않았다'는 응답은 19.7%, '별로 노력하지 않았다'는 응답은 10.5%였다.
이번 협상 타결이 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됐는지 묻는 질문에는 '그렇다'는 응답이 49.2%,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45.5%였다. 긍정 응답 중 ‘매우 그렇다’는 18.8%, ‘대체로 그렇다’는 30.4%였고, 부정 응답 중 ‘전혀 그렇지 않다’는 19.7%, ‘별로 그렇지 않다’는 10.5%였다.
응답자들은 협상의 주요 성과로 ‘상호 관세율 15% 인하 및 경쟁국과 동일한 조건 확보’를 가장 많이 꼽았다. 해당 응답은 23.8%였다. 이어 ‘쌀·소고기 등 국내 민감 품목 시장 개방 제외’가 23.2%, ‘1500억 달러 규모 조선 분야 협력 확대’가 17.4%, ‘반도체·의약품에 대한 최혜국 대우 보장’이 9.2%, ‘전략 산업 분야 2000억 달러 협력 펀드 조성’이 8.8% 순이었다.
이번 협상이 장기적으로 한국 경제 발전의 기회가 될지 묻는 질문에는 58.1%가 동의했고, 35.7%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매우 동의함’은 25.2%, ‘대체로 동의함’은 32.9%였다. 반면 ‘전혀 동의하지 않음’은 18.4%, ‘별로 동의하지 않음’은 17.3%였다.
이번 조사는 임의 전화걸기(RDD) 방식을 이용한 무선 100%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3.4%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