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리돌림하며 왕따…" 군대에서 고통 받다 식물인간 된 아들
2025-08-05 16:38
add remove print link
군대의 어두운 그림자, 한 병사의 고통
군대에서 정신적 고통을 겪다가 극단적 선택을 시도했던 한 병사의 사연이 가슴을 아프게 한다.
육군 17사단 원현식 일병의 사연이다.
원 일병 이야기는 지난달 MBC '실화탐사대'에서 방영됐고, 이후 상황이 여러 매체를 통해 보도됐다.
원 일병은 지난 2023년 12월 14일 오전 9시 27분, 극단적 선택을 시도해 혼수상태에 빠졌다. 그는 뇌손상으로 회복이 불가능한 중증 상태에 놓이게 됐다. 원주 한 병원에 누워서 지낸 지 2년째다.

원 일병은 2023년 6월 27일 제3사단 신병교육대에 입대했다. 특별한 정신과 병력은 없었다. 건축전공을 택한 원 일병은 나중에 엄마에게 집을 지어드리는 게 꿈이었다. 그의 친구들은 원 일병의 학창시절을 회상하며 "착하고 순수하고 반에서는 즐거움을 주던 사람"이라 말했다.
이후 운전병으로 훈련을 수료한 뒤 같은 해 9월 1일 제17보병사단에 자대배치를 받았다. 그러나 원 일병은 교육받은 직무와 무관한 신궁 미사일 운용병으로 일방적으로 보직이 변경됐고,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3주간의 교육 없이 9월 21일 고첨도 진지에 곧바로 투입됐다.
원 일병 가족은 '갑작스러운 실무 투입이 업무 미숙과 환경 부적응을 야기했고, 원 일병은 극심한 정신적 스트레스 속에서 우울, 불안, 자살 사고 및 계획 등 적응 장애 증세를 보이기 시작했다'는 입장이다.
같은 해 9월 18일 실시된 심리검사에서 원 일병은 ‘관심’군으로 분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부대는 관리나 상담 등 어떤 후속 조치도 하지 않았다.

오히려 고립된 진지에서 반복되는 실수에 대한 질책, 상급자의 폭언, 욕설 등으로 심리적 압박이 가중되었고, 정신상태는 급속히 악화된 걸로 보인다. 10월 무렵에는 타이레놀과 술을 함께 복용하려 시도하거나 "공포탄으로도 죽을 수 있느냐"는 등 극단적인 선택을 암시하는 말을 했지만 부대 측은 정신과 진료나 보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해당 정보는 부모에게도 전달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원 일병은 수도군단 병역심사관리대에 수시 입소됐지만, 부대는 필수적인 현역복무부적합심사 개최를 ‘순번이 밀렸다’며 미뤘다. 11월 2일 심리검사 결과에서도 극단적 선택 위험 ‘주의’ 판정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조치가 없었다.
원 일병 아버지는 "(부대에서) 한명 두명 몰아가면서, 조리돌림하면서 왕따시키고..."라는 주장도 했다. 협박 혐의로 기소된 중대장, 행정보급관은 무죄 판결을 받았다.

원 일병은 현재도 군인 신분이다. 공무상 상해 판정을 받아 군에서 병원비의 약 80%를 지원 받고 있다. 월 병원비는 총 500만 원, 이중 250만 원은 건강보험에서 공제된다. 남은 250만 원의 80%를 군에서 주는 것이다. 하지만 전역자가 되면 지원이 중단된다. 6개월마다 심사를 받아야 하는 탓에 가족들은 매번 탈락에 대한 불안에 떨어야 했다.
결국 지난달 1일 원 일병에 대한 전역 보류 판정이 최종 결정됐으며, 이에 따라 피해자는 향후 전역 심사 전까지 병원비 전액을 국가 지원으로 보장받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