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바닥 뚫을 기세…8000원→1500원, 80% 대폭락해버린 '국민 과일'

2025-08-11 11:06

add remove print link

물량 과잉에 생산량 줄어 가격 폭락

'국민 과일'의 가격 하락세가 심상치 않다.

서울 한 재래시장에 진열된 과일. / 연합뉴스
서울 한 재래시장에 진열된 과일. / 연합뉴스

11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2024년산 배(상품) 15㎏당 도매가격은 3만 1597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 16만 9763원보다 80% 이상 떨어졌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배(신고) 10개당 소매가격은 3만 6026원으로, 지난해 7만 6077원 대비 52.6% 낮았다.

배 한 개 평균 무게를 약 750g으로 계산하면 15㎏ 한 상자에는 약 20개가 들어간다. 이를 개당 가격으로 환산하면 지난해 약 8488원이던 것이 올해는 약 1580원 수준으로 하락한 셈이다.

이번 가격 폭락은 물량 과잉 때문만은 아니다. 현재 유통 중인 배는 올해산이지만, 지난해 생산량은 오히려 4년 만에 가장 적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배 생산량은 17만 8000t으로, 2020년 13만 3000t 이후 최저 수준이었다.

흉작의 원인은 202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생산량은 18만 4000t으로 전년 25만 1093t보다 26.8% 줄었는데, 재배면적은 2.4% 감소에 그쳤지만 단수가 25% 줄었다. 봄철 냉해와 심각한 일소 피해가 겹쳤다. 소비자들은 2023년 여름을 기록적인 폭염으로 기억하지만, 배 농가의 피해는 오히려 그 전 해에 집중됐다.

배 자료사진 / Stock for you-shutterstock.com
배 자료사진 / Stock for you-shutterstock.com

그 시기 일부 농가는 배를 바로 판매하지 않고 저장해 가격이 오를 때 출하하는 전략으로 큰 수익을 올렸다. 15㎏에 5만 원 하던 배를 15만~20만 원에 판매한 경우도 있었다. 2023년 7월 평균 배 10개당 소매가는 7만 9559원으로, 전년 같은 달 2만 8531원의 약 세 배였다.

이 경험은 지난해에도 반복됐다. 다수 농가가 수확한 배를 냉장 저장하며 출하를 미뤘고, 정부와 생산자단체의 출하 요청에도 응하지 않았다. 올 1월 배 10개당 소매가는 4만 4131원으로, 전년보다 33.3% 높았다. 그러나 2월부터 도매가격이 전년 대비 낮아지기 시작했고, 5월에는 15㎏당 5만754원으로 평년가보다 떨어졌다.

가격 하락이 지속되자 저장 물량을 한꺼번에 방출하는 농가가 늘었다. 하지만 설 연휴는 이미 지나갔고, 올해 추석은 10월로 햇배 출하 이후라 판매처 확보가 쉽지 않았다. 이로 인해 가격 하락 속도는 더욱 빨라졌다. 지난달 도매가는 평년가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배 자료사진 / Stock for you-shutterstock.com
배 자료사진 / Stock for you-shutterstock.com

배의 수요 기반이 얇다는 점도 문제다. 사과는 주스나 간식 등 활용도가 높지만, 배는 주로 명절 제사용품으로 소비된다. 2023년 1인당 배 소비량은 3.1㎏으로, 사과(7.7㎏)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지난해 가격 폭등은 소비자 외면을 부추겼고, 올해 설에도 판매 부진으로 소매점이 납품 취소를 요청하는 사례가 있었다.

품질 저하도 영향을 미쳤다. KREI 농업관측센터 조사에서 지난해 배 생육이 평년보다 좋다는 응답은 21.2%, 나쁘다는 응답은 27.7%였다. 결국 가격 폭락으로 농가들이 저장 물량을 떠안게 됐고, 일부는 정부에 ‘배 가격을 책임지라’는 민원을 넣기도 했다.

한국 배 자조금 관리위원회 김상동 사무국장은 “창고에 숨겨진 저장 배가 많아 올해 배 가격이 오르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내다봤다.

home 김지현 기자 jiihyun1217@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