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싸서 엄두 못 낸 국민 식재료…8월 25일부터 '반값 할인' 들어갑니다

2025-08-24 15:16

add remove print link

정부, 한우 할인 '소 프라이즈' 행사 시작

'소 프라이즈' 한우 할인 행사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을철을 앞두고 월요일인 8월 25일부터 금요일인 9월 5일까지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국민 식재료 한우를 30~50% 저렴하게 판매하는 '소(牛)프라이즈 한우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 연합뉴스
'소 프라이즈' 한우 할인 행사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을철을 앞두고 월요일인 8월 25일부터 금요일인 9월 5일까지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국민 식재료 한우를 30~50% 저렴하게 판매하는 '소(牛)프라이즈 한우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 연합뉴스

고물가가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자들이 환영할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다. 한우 반값 할인 행사가 드디어 시작된다. 한우는 한국인들이 좋아하고 즐겨 먹는 대표적인 국민 식재료다.

정부가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 최대 50% 한우 할인 행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을철을 앞두고 월요일인 8월 25일부터 금요일인 9월 5일까지 한우자조금, 전국한우협회, 농협경제지주와 함께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국민 식재료 한우를 30~50% 저렴하게 판매하는 '소(牛)프라이즈 한우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대형 온라인몰 등은 월요일인 8월 25일부터, 전국 농협 하나로마트 519개소와 주요 대형마트 등은 금요일인 8월 29일부터 할인 행사가 실시된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업체별·매장별 할인 행사 참여 기간은 재고 사정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행사에 참여하는 지역별 농협 하나로마트 매장과 업체별 행사 일정은 8월 25일부터 한우자조금과 전국한우협회, 농협경제지주 홈페이지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이번 할인 행사 품목은 등심, 양지, 불고기·국거리류다. 한우 등급은 1+등급에서 2등급까지 다양하다고 농림축산식품부는 설명했다.

판매 가격은 매장별로 차이가 있지만 1등급 기준으로 100g당 등심은 6730원, 양지는 3970원, 불고기·국거리는 2920원 이하로 판매될 예정이다. 이는 지난해 8월 소비자 가격과 비교하더라도 약 17~25% 저렴한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한우 할인 행사와 관련해 안용덕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관은 뉴시스에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 물가 부담 경감을 위해 생산자 단체와 유통 업체 등과 협력해 이번 한우 할인 행사를 추진하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행사 이후에도 추석 성수기를 비롯해 적정한 시기에 한우 할인 행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니 소비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라고 덧붙였다.

'소 프라이즈' 한우 할인 행사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을철을 앞두고 월요일인 8월 25일부터 금요일인 9월 5일까지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국민 식재료 한우를 30~50% 저렴하게 판매하는 '소(牛)프라이즈 한우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 연합뉴스
'소 프라이즈' 한우 할인 행사 모습.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을철을 앞두고 월요일인 8월 25일부터 금요일인 9월 5일까지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국민 식재료 한우를 30~50% 저렴하게 판매하는 '소(牛)프라이즈 한우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 연합뉴스

한우는 한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대표적인 보양식 재료로, 뛰어난 품질과 맛으로 국민 식재료로 자리 잡았다. 한우는 한국 토종 소인 한우종에서 비롯된 소고기로, 철저한 사육 관리와 유전적 우수성 덕분에 부드러운 육질과 풍부한 풍미를 자랑한다.

특히 한우는 지방과 근육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는 마블링이 특징이며 이는 고기의 쫄깃함과 깊은 맛을 더해준다. 한국인들은 한우를 불고기, 육회, 갈비, 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하며 명절이나 특별한 날에 빠질 수 없는 고급 식재료로 여긴다.

한우는 단백질, 아미노산, 비타민 B군이 풍부해 체력 회복과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보양식으로 꼽힌다. 한우의 사육 과정은 엄격한 품질 관리 기준을 따르며 지역별로도 세분화된 등급 체계로 소비자 신뢰를 얻는다.

한국 사람들은 한우를 단순한 식재료가 아닌 문화적 자부심의 상징으로 여기며 그 맛과 영양은 세대를 이어 사랑받고 있다. 한우의 인기는 해외에서도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한국 요리의 글로벌 위상을 높이는 데도 기여하고 있다.

home 손기영 기자 sk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