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임신부·노인은 무료…‘이 질병’ 예방하려면 예방접종 꼭 맞으세요
2025-08-25 10:04
add remove print link
4가 백신에서 3가 백신으로 전환
다가오는 가을과 겨울 독감 유행에 대비해 국가 예방접종이 시작된다.

독감에 걸리면 갑작스러운 고열과 근육통에 시달리고 기침과 인후통까지 겹쳐 일상생활이 크게 흔들린다. 특히 어린이나 노인은 탈수나 폐렴 같은 합병증으로 악화되기 쉬워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지난 겨울에는 환자가 크게 늘어나며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의 유행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예방접종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질병관리청은 오는 9월 22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 2025~2026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중증 위험이 큰 생후 6개월에서 13세 어린이와 임신부, 65세 이상 고령층은 무료 접종 대상이다.
일정은 대상자별로 나뉜다. 9월 22일에는 2회 접종이 필요한 어린이가 먼저 접종을 시작한다. 과거 접종력이 없거나 한 번만 맞은 경험이 있는 6개월 이상 9세 미만 어린이가 해당된다. 9월 29일부터는 1회 접종 대상 어린이와 임신부가 접종을 시작하며 10월 15일부터는 75세 이상 어르신을 시작으로 70대와 60대 순서로 확대된다.
올해부터는 백신 구성도 달라진다. 그동안 쓰이던 4가 백신에서 전 세계적으로 거의 발견되지 않는 B형 야마가타 항원을 빼고 3가 백신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미국은 이미 지난해 이를 적용했고 일본과 대만, 영국도 올해부터 같은 방식을 쓴다. 질병청은 남은 세 가지 항원으로도 충분히 예방 효과를 낼 수 있다며 안전성 면에서도 차이가 없다고 강조했다. 독감 예방주사와 코로나19 백신은 같은 날 동시에 맞는 것도 가능하다.
예방접종은 주소지와 관계없이 가까운 위탁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서 받을 수 있다. 전국 지정 의료기관은 약 2만3천 곳이며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하다. 접종 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며 어린이는 주민등록등본이나 건강보험증, 임신부는 산모수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접종 후에는 20~30분간 머물며 이상반응을 관찰하는 것이 권장된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A형과 B형이 유행한다. 잠복기는 1~4일로 짧고 갑작스러운 고열과 오한, 근육통, 두통이 특징이다. 소아는 종아리 근육통을 호소하기도 하고 복통이나 구토 같은 소화기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방치하면 폐렴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영유아와 임신부, 65세 이상 고령층, 당뇨나 심장질환 같은 만성질환자는 위험이 크다. 독감에서 회복되는 시점에 다시 열이 나고 기침과 누런 가래가 생기면 세균성 폐렴 같은 2차 감염을 의심해야 한다.
치료에는 항바이러스제가 사용된다. 타미플루 같은 먹는 약과 페라미플로 같은 주사제가 대표적이며, 증상 발현 후 48시간 이내에 투여해야 치료 기간을 줄이고 합병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실제로 지난겨울 독감은 최근 수년간 중 가장 심각한 유행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올해 1월 첫째 주 외래환자 1000명당 의심 환자는 99.8명으로, 2016년 대유행 당시 86.2명을 넘어선 수치를 기록했다. 방역당국은 올해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며 예방접종 참여를 당부하고 있다.
가장 확실한 예방법은 백신 접종이다. 건강한 성인도 접종 시 70~90%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매년 변이를 일으키는 특성상 해마다 새로 맞아야 한다. 손 씻기와 마스크 착용,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 규칙적인 생활 습관도 독감 예방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