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비 걱정 끝났다…1년에 24만 원 돌려준다는 ‘이 지역’

2025-08-27 11:07

add remove print link

분기별 교통카드 이용액 정산해 현금 환급

교통비 걱정 없는 지역이 등장했다. 버스만 타도 일정 금액을 돌려받는 제도가 종로구에서 시작된다.

서울 종로구는 구민 이동권 보장을 위해 버스 교통비 지원 정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 뉴스1
서울 종로구는 구민 이동권 보장을 위해 버스 교통비 지원 정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 뉴스1

서울 종로구는 구민 이동권 보장을 위해 버스 교통비 지원 정책을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지원 대상은 6세 이상 아동부터 청소년과 청년, 그리고 65세 이상 어르신까지다. 기존 교통약자 중심 지원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청년층까지 포함한 것이 특징이다.

지원 방식은 간단하다. 분기마다 교통카드 사용 내역을 확인해 계좌로 환급하는 구조다. 어르신과 청년은 분기 6만 원, 청소년은 4만 원, 아동은 2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 연간 최대 금액은 각각 24만 원, 16만 원, 8만 원이다. 교통비 부담이 큰 세대별 상황을 고려해 차등을 둔 것이다.

혜택은 종로구 안에서만 머무르지 않는다. 서울 전역의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이용 시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다만 정부나 서울시가 이미 운영 중인 K-패스, 기후동행카드 같은 유사 사업과는 중복 지원되지 않는다. 장애인이나 국가유공자 등 별도의 버스비 지원 제도를 받는 경우도 제외된다.

신청은 9월 1일부터 가능하다. 주민등록지 동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해 교통카드와 신분증, 통장 사본을 제출하거나 전용 누리집에서 온라인 신청을 하면 된다. 아동과 청소년은 부모가 대신 신청할 수 있고, 이 경우 가족관계증명서와 대리인 신분증이 필요하다.

지원금은 올해 12월 첫 지급이 이뤄진다. 10월과 11월 이용분을 합산해 환급하고, 이후에는 매년 3월·6월·9월·12월 분기마다 정기적으로 지급된다. 교통카드 사용 실적이 곧 환급으로 이어지는 구조다.

정문헌 종로구청장은 “버스는 주민 모두가 누려야 할 공공재이자 기본권”이라며 “이번 사업은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생활 편의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버스 교통비 홍보 포스터 / 종로구 제공
버스 교통비 홍보 포스터 / 종로구 제공

종로구의 버스 교통비 지원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흐름과 맞닿아 있다. 서울 중구는 이미 2023년에 교통비 지원 사업을 시작해 주민 만족도가 높았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80% 이상이 “생활이 나아졌다”고 답했고, 외출 빈도가 늘었다는 응답도 70%를 넘었다. 단순한 요금 절감을 넘어 경제적 도움과 건강, 대인관계 개선까지 긍정적 효과가 확인됐다.

다른 지자체들도 속속 발걸음을 맞추고 있다. 서울 강남구는 올해 10월부터 기존 어린이·청소년 대상에 청년층을 추가하기로 했고, 대구는 지난 7월부터 73세 이상 어르신에게 무임 교통카드를 발급했다. 매년 대상 연령을 낮춰 2028년에는 70세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울산도 75세 이상부터 지원을 시작해 점차 확대를 검토 중이고, 광주는 올해부터 연령별 환급 제도를 도입했다. 대전 역시 새 예산을 편성해 내년부터 어린이 대상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처럼 전국 곳곳에서 버스 교통비 지원 사업이 경쟁적으로 확대되면서 ‘교통복지’는 지방정부의 새로운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다.

home 정혁진 기자 hyjin27@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