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대한민국 진짜성장’ 견인한다…에너지·산업·소상공인 정책 ‘청사진’ 제시
2025-08-29 16:07
add remove print link
충남연구원, 미래정책 콜로키움 개최…“탄소중립경제·AI·반도체 육성으로 정부 국정과제 선제 대응”

새 정부가 ‘대한민국 진짜성장’을 국정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가운데, 충청남도가 국가 경제성장 전략과 발맞춘 지역 맞춤형 정책 방향을 제시하며 주목받고 있다.
충남연구원은 28일 ‘제3차 충남 미래정책 콜로키움’을 열고, 새 정부의 국정 비전인 ‘AI 3대 강국, 경제성장률 3%, 국력 세계 5강’ 달성에 기여하기 위한 충남의 역할과 과제를 논의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에너지 전환, 미래전략사업 육성, 소상공인 지원 등 지역 경제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이 공개됐다.
첫 발표자로 나선 신동호 충남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장은 충남의 ‘탄소중립경제특별도’ 비전이 정부의 국정 기조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강조했다. 신 실장은 “정부의 서해안권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 계획에 발맞춰 해상풍력·수소 등 분산형 발전 사업을 적극 확보하고, 수소 파이프라인 같은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확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이어 “분산에너지 특구와 RE100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서해안을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허브 클러스터로 육성해 미래 신산업을 선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홍원표 연구위원은 정부의 산업정책에 대응한 충남의 전략산업 재편을 주문했다. 그는 “AI와 에너지 분야에 대한 국가적 집중투자에 맞춰 충남도 산업대전환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반도체 산업의 전략적 우선순위 상향 △충남 에너지 산업전략 업데이트 △AI 산업 대전환 마스터플랜 수립 △제조 기반 벤처·스타트업 확충 등을 핵심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지역경제의 근간인 소상공인 문제도 심도 있게 다뤄졌다. 이민정 연구위원은 “충남 지역 소상공인의 신규 창업은 줄고 폐업은 늘어나는 위기 상황”이라며 복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책을 촉구했다. 이 연구위원은 △상권과 돌봄이 융합된 공간 조성 △AI 기반 디지털 경영 지원 △지역화폐 혁신과 소상공인 기본수당 지급 △규제 샌드박스 철폐를 통한 혁신 지원 등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휴먼웨어를 아우르는 다각적 해법을 제시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김선배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등 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해 충남의 성공적인 산업대전환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전희경 충남연구원장은 “충남은 탄소중립, 베이밸리 메가시티, 친환경에너지 등 대한민국의 미래전략산업을 이끄는 중추적 거점”이라며 “충남의 성공적인 산업대전환이 곧 국가 성장과 직결되는 만큼, 정부 정책과 연계해 더욱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충남연구원은 향후 ‘국민행복과 안전한 충남’, ‘충남 농정의 재구조화’ 등을 주제로 미래정책 콜로키움을 이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