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왜곡 도서’ 유입 철벽 방어~ 전남도교육청, 전수조사와 재발 차단 대책 총력

2025-08-31 03:34

add remove print link

830여 학교 실사… 실물 도서까지 정밀 점검

[위키트리 광주전남취재본부 노해섭 기자]전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이 8월 11일부터 27일까지 도내 830여 개 학교를 대상으로 ‘역사 왜곡(의심) 도서’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했다고 8일 밝혔다.

공공도서관을 제외한 이번 조사에서는 기존 전산 점검만으로 걸러지지 않는, 실제 학교에 보관 중인 책들까지 직접 확인하며 사각지대를 꼼꼼히 파악했다.

이는 7월 10일 ‘독서로’ 검색 시스템을 통한 1차 조사에서 누락 가능성이 제기된 데 따라 이뤄졌으며, 학교 현장에 역사 왜곡 도서가 추가로 유입되지 않도록 강도 높은 조치가 내려졌다.

####추가 발견 도서·처리 과정 투명하게 강화

조사 결과, 기존 10교 18권에서 18교 45권으로 논란 도서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더해 70개 학교에서 총 32종 169권의 친일 잔재 및 역사 왜곡(의심) 도서가 새로 확인됐다.

이미 논란이 됐던 도서는 각 학교 도서관운영위원회 심의를 통해 폐기됐으며, 신규 발견 도서도 관련 절차를 거쳐 처분될 예정이다.

전남교육청은 “현장 자율성을 존중하되,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더욱 정확한 판별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전수조사 후에도 새롭게 발견될 수 있는 도서는 시민단체·역사전문가 등과 협력해 2026년 2월까지 단계적으로 정리하기로 했다.

####사전 차단부터 학생 교육까지… 빈틈 없는 대책 추진

역사 왜곡 도서의 학교 유입을 원천 차단하기 위한 대책도 내놨다. 학교도서관발전위원회 및 도서관운영위원회의 심의 기준을 한층 강화하고, 새로 들여올 책 목록을 지역민과 전문가들이 사전에 열람·의견을 낼 수 있도록 학교 홈페이지에 최소 7일간 공개하게 한다.

또한, 신뢰할 수 있는 역사단체 및 여순사건 유족회, 시민단체 추천 전문가가 포함된 민관 합동 자문단도 꾸려 감시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더했다.

이와 함께 학생과 교직원의 비판적 역사 인식 역량을 기르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도 지속 확대된다. 여순 10·19 평화인권교육 등 헌법교육 역시 ‘아시아 義 청소년 헌법교육센터’를 통해 체계적으로 실시될 예정이다.

김대중 교육감은 “학교의 자율성과 절차적 정당성을 지키면서도 지역사회·전문가들과 적극 협력해 역사 왜곡 도서가 다시는 학교를 넘나들지 못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남교육청은 향후 역사 왜곡 관련 도서뿐 아니라, 프로그램·강사 등을 통한 왜곡 교육 시도까지 사전 차단 체계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home 노해섭 기자 noga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