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북지사, 9일 캐나다 트뤼도 전 총리와 글로벌 리더십 대담

2025-09-04 09:38

add remove print link

‘지속가능한 미래 공동체’ 라는 주제로 세계지식포럼에서 대담
개방사회, 혁신정책 공통점 많아, 지역과 세계를 잇는 메시지 기대
APEC 회원국 지도자 출신과 APEC 개최도시 지방정부 리더의 특별한 만남

이철우 경북도지사/경북도
이철우 경북도지사/경북도

[경북=위키트리]이창형 기자=이철우 경북도지사가 APEC 2025 KOREA 개최 50여 일을 앞둔 오는 9일, 서울신라호텔에서 열리는 세계지식포럼에서 트뤼도 캐나다 전 총리와 ‘APEC이 주도하는 세계질서’라는 주제로 일대일 특별 대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번 만남은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APEC 2025 KOREA 정상회의 및 CEO 서밋을 50여 일 앞두고 글로벌 리더십과 함께 지역의 미래 전략을 논의하는 상징적인 만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쥐스탱 트뤼도(Justin Trudeau) 캐나다 전 총리는 진보적인 정책과 젊은 지도력으로 유명하며, 2015년 10월 총선에서 자유당을 이끌고 43세에 총리로 취임한 후 2025년 3월까지 장기 집권했다.

그는 중산층 감세와 부유층 증세 그리고 젠더 평등 내각 구성 등 진보적인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며 기후변화 대응, 대마초 합법화와 이민정책 등으로 국제적 리더로 올라선 정치인이다.

이번 대담은 ‘지속가능한 미래 공동체’라는 주제로 열릴 예정이며, 양측의 공동 관심사인 다양성과 포용에 대한 국가적 지도력이 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민정책과 대마 산업화 등 혁신적인 정책에 지도력의 접점이 많아 캐나다와 경상북도의 협력과 교류를 기대하고 있다.

트뤼도 전 총리는 집권 초기부터 노동력 보강과 인구 증가, 다양성 강화를 목표로 영주권 26만 명에서 50만 명까지 확대하는 이민 확대 정책을 중점적으로 펼쳐왔다.

이철우 도지사도 민선 8기부터 지방정부에 비자 발급 권한을 주는 것을 골자로 한 ‘외국인 광역비자제도’를 주장하고 특화사업을 시범 추진해 왔다.

작년부터는 경북형 초청 장학제도를 통해 석사 2년·박사 3년의 학위 과정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1년간의 한국어 연수 과정도 지원해 우수 이공계열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 지역 내 사회 정착을 유도하는 사업도 하고 있다.

대마의 합리적인 활용을 통한 산업육성도 공통점이다.

캐나다는 트뤼도 전 총리 취임 당시, 세계 두 번째로 기호용 대마초를 합법화한 국가가 되었고, 이철우 도지사는 2020년 국내 최초로 ‘산업용헴프 규제자유특구’를 만들어 환각성분이 낮은 산업용헴프를 활용한 바이오 소재 산업화를 꾀했다.

두 지도자 간 공통점이 많고, APEC 2025 KOREA가 경상북도 경주에서 열리는 만큼, 이번 대담은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세계 주요국 지도자 출신과 지방정부의 리더가 직접 미래 담론을 나누는 특별한 만남으로 이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이철우 도지사가 강조해 온 다문화 개방사회로 대표되는 글로벌 미래 공동체의 비전과, 트뤼도 전 총리가 강조해 온 다자주의‧포용성‧지속가능성의 가치가 함께 교차하면서 지역과 세계를 잇는 새로운 지도력 모델이 제시될 것으로 전망한다.

한편, 트뤼도 전 총리는 9일 세계지식포럼의 기조연설자로 나서 ‘대전환기의 리더십, 연대, 그리고 인류의 새 도전’을 주제로 연설을 진행하며, 이철우 도지사는 9일 저녁 신라호텔에서 세계지식포럼의 연사들과 국내외 주요경제인들이 총출동해 APEC 2025 성공개최를 기원하는 메인디너 이벤트인‘APEC 나이트’를 개최한다.

home 이창형 기자 chang@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