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도 예상 못했다... 한국서 AI 때문에 가장 먼저 타격받은 '뜻밖의 직업'

2025-09-07 10:54

add remove print link

모두가 안전하다 믿었는데...AI가 가장 먼저 잠식한 '의외의 분야'

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AI 툴로 만든 사진.
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AI 툴로 만든 사진.

"많은 분이 오해하는 게 있다. AI가 단순 반복 작업을 잘하고 어려운 건 사람이 해야 한다고 아는 사람이 많다. 잘 모르고 하는 얘기다. IT 개발자들을 한국에서 덜 뽑고 있는 것만 봐도 그렇다."

이상욱 한양대학교 철학과 교수가 최근 '지식인사이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AI 시대의 일자리 변화에 대해 얘기하며 내놓은 말이다.

이 교수는 "역설적인 게 사람들이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다"며 "10년 전에 AI 얘기할 때는 '그래도 뭐 예술하는 사람은 괜찮을 거야' 이렇게 얘기했는데 예술이 제일 먼저 타격을 받았고, 지금 IT 개발자들도 판교에서 덜 뽑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AI에 일을 지시할 수 있는 경력 5~10년의 숙련된 기술자가 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신입들을 뽑지 않는 상황에서 이런 사람들이 정년퇴직하고 있다"라고 우려했다. IT 개발자 생태계 자체가 무너지고 있다는 뜻이다.

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AI 툴로 만든 사진.
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AI 툴로 만든 사진.

이 교수는 AI의 한계도 명확히 했다. AGI(범용 인공지능)에 대해 "일반인들이 생각하기에는 SF에 등장하는 사람하고 전혀 구별 안 되는 안드로이드 로봇이 가진 인공지능을 생각하기 쉽다"며 "하지만 로봇 기술하고 인공지능 기술은 다르다"라고 설명했다.

현재의 AI는 특수 인공지능으로, 알파고를 예로 들어 "바둑을 기가 막게 잘 뒀지만 그만두고 메디컬 쪽으로 가서 훈련을 시키면 바둑을 더 못 둔다"며 "복수 전공이 안 된다"고 했다.

AI의 ‘환각’ 현상에 대해선 "현재 생성 인공지능에 기반이 되는 아키텍처의 특징이 참과 거짓을 그 차이가 안 느껴지게 잘 버무려내는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이라며 "이 테크놀로지에는 참·거짓 필터가 없다"고 설명했다. 환각은 줄일 순 있어도 없앨 수는 없다는 것이 이 교수 분석이다.

다만 환각의 긍정적 활용법도 제시했다. "환각이란 게 결국은 세상에 없는 것들, 혹은 세상에선 거의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것들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이라며 "예술 분야에서는 환각이 굉장히 생산적이다"라고 했다.

일반인들의 AI 대응법으로는 "질문을 던질 때 자기의 관심사, 자기가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을 마구 다 집어넣어 아주 구체적으로 답변을 얻어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그는 현명하게 AI를 쓰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고 했다. 너무 과의존하면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없어진다는 것. 예컨대 책을 읽고 요약하는 건 AI가 쉽게 할 수 있지만, 그것을 연습해둬야 나중에 AI가 헛소리할 때 틀린 점을 잡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

알고리즘의 편향성 문제에 대해서는 "인간이 자신이 뭘 할지를 자율적으로 선택할 권리가 있는데 AI가 너무 파워풀한 도구를 제공해 주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며 해결책으로 투명성과 사용자 조종권을 제시했다.

이 교수는 마지막으로 "AI가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어 주도록 해야 한다"며 "AI 미래는 정해져 있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적극 수용하거나 막 거부하거나 그 둘 중에 하나라고 생각하는데 저는 그러면 안 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AI가 단순 반복 작업을 잘하고 어려운 건 사람이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건 잘못이라고 이상욱 한양대 교수가 말하고 있다. / '지식인사이드' 유튜브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