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대·충남대 통합 추진에 지역사회 ‘패닉’…공주시 “또 인구 감소 우려”

2025-09-08 13:31

add remove print link

공주대 유사학과 절반 이전 땐 학생 2,500명 이탈 가능성
과거 천안 이전 전례처럼 인구 타격 우려…지자체·의회 공동 대응 촉구

공주대·충남대 통합 추진에 지역사회 ‘패닉’…공주시 “또 인구 감소 우려” / 뉴스1
공주대·충남대 통합 추진에 지역사회 ‘패닉’…공주시 “또 인구 감소 우려” / 뉴스1

[충남=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공주대학교와 충남대학교 간 통합 추진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공주시가 극심한 우려에 휩싸였다. 공주시의회 임달희 의장은 “공주대 통합은 지역 인구 감소를 가속화시키고, 도시 존립 기반을 뒤흔들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통합 전제 철회를 강력히 촉구했다.

국립대학 구조개편 논의가 지역 균형 발전과 충돌하고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글로컬 대학’ 육성 정책 일환으로 공주대와 충남대 간 통합이 추진되는 가운데, 공주 지역에서는 거센 반발이 일고 있다.

임달희 공주시의회 의장은 최근 “통합이 현실화될 경우 유사 학과의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며, 이는 곧 공주대 학생들의 대규모 이탈로 직결될 것”이라며 “공주시는 또 한 번의 인구 타격을 감당해야 할 위기에 처했다”고 경고했다.

임달희 공주시의회 의장  / 공주시의회
임달희 공주시의회 의장 / 공주시의회

공주대에는 현재 9개 학부, 89개 학과에 약 1만 6,000명이 재학 중이며, 이 중 50여 개 학과가 충남대와 중복된다. 임 의장은 “이 가운데 절반만 대전으로 이전해도 약 2,500명 이상의 학생이 공주를 떠나게 된다”고 지적했다.

실제 2005년 공대 천안 이전 당시, 3,000여 명의 학생이 한꺼번에 공주를 빠져나가며 지역경제에 큰 충격을 안긴 전례가 있다. 임 의장은 “통합 후 유사한 방식으로 학과가 이전된다면, 현재 공주시가 시행 중인 학생 전입지원 정책은 순식간에 무력화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공주시는 현재 학생 전입을 장려하기 위해 지원금, 온누리상품권, 쓰레기봉투 제공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며, 2025년 8월 기준 약 2,200명의 학생이 해당 혜택을 받고 있다. 이 수치만으로도 공주대가 지역 인구 유지에 핵심 축임을 보여준다.

하지만 국립대 간 통합 논의는 교육부 주도 아래 추진되며, 지역 여론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잇따른다. 임 의장은 “대학 통합은 단순 행정 개편이 아닌, 지역 존립과 직결된 문제”라며 “충남대와의 통합 전제 조건을 철회하고, 공주대 독자 발전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주대 통합 논란은 단지 한 지역 대학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소멸을 막기 위한 국가적 과제와 맞물려 있다. 지역 인재 유출과 경제 축소를 감안할 때, 단기적 효율성보다 지역 사회와의 협의와 공존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는다. 공주대는 단지 교육기관이 아니라, 공주시의 미래라는 점에서 정부와 교육당국의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home 양완영 기자 top032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