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티나게 팔린다…케데헌 열풍에 CU 매출 폭등시킨 ‘이것’ 정체
2025-09-15 11:08
add remove print link
라면·즉석식품·스낵까지…K푸드 소비 확대
글로벌 화제작 ‘케데헌’ 열풍에 편의점 김밥이 뜻밖의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전 세계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자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극 중 장면을 따라 하기 위해 편의점으로 몰려들고 있다. 영화 속 주인공이 김밥 한 줄을 통째로 베어 무는 모습은 ‘김밥 한입 먹기 챌린지’로 번졌고, 명동역점이나 인천공항 같은 관광지 편의점에서는 인증샷을 찍으려는 손님들로 붐비고 있다. 단순한 간편식이던 김밥이 K컬처와 결합해 ‘경험’으로 소비되는 현장이 만들어진 셈이다.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최근 두 달간(7~8월) 해외 결제 수단 이용 건수가 전년 대비 185% 늘었고, 특히 김밥 매출은 231% 급증했다고 15일 밝혔다. 김밥 전체 매출 신장률이 29%에 그친 것을 고려하면 무려 7배 가까운 수치로 외국인 관광객들 사이에서 편의점 김밥이 한국 여행 필수 코스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

세부 매출을 살펴보면 외국인들이 선호하는 메뉴가 확연히 드러난다. 공항과 호텔, 관광지 등 외국인 방문이 많은 점포 30곳에서는 불고기와 참치마요 계열이 매출 상위를 차지했다. 불고기, 뉴 듬뿍 소불고기, 압도적 참치 마요, 압도적 치즈 불고기가 대표적이며, 매운맛을 찾는 고객들을 겨냥한 압도적 치즈 불닭, 전주 비빔 불고기, 화끈 불제육도 빠르게 인기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단순한 전통 김밥을 넘어 다양한 맛이 외국인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밥만 뜬 게 아니다. 같은 기간 해외 결제 수단으로 구매된 상온즉석식 매출은 143%, 라면은 99%, 스낵은 53%, 김치는 38%, 김은 23% 각각 늘었다. 한강라면, 편의점 치킨 같은 ‘K푸드 체험 상품’도 크게 주목받았다. 후라이드 치킨 매출은 181%, 즉석라면은 159%, 군고구마는 119% 증가했다. 외국인 관광객들이 단순히 음식이 아니라 현지 문화 체험으로 소비하는 경향을 뒷받침하는 결과다.

CU는 이러한 흐름을 반영해 이달 ‘케이-통 소불고기’ 김밥을 출시했다. 영화 속 주인공이 한 줄짜리 김밥을 통째로 들고 먹는 장면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게 한 제품이다. 패키지에는 ‘No-cut beef bulgogi kimbap’이라는 문구를 넣어 외국인 고객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했고, 속 재료도 소불고기를 채워 글로벌 입맛에 맞췄다. 가격은 2900원으로 책정됐다.
여기에 농심과 협업해 영화 주인공이 그려진 등신대와 K푸드 전용 진열대를 명동역점, 인천공항 T2 제1호점 등 주요 거점 30여 곳에 설치했다. 신라면과 새우깡 같은 대표 제품에도 캐릭터 디자인을 입혀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고 있다. 이는 편의점 공간 자체를 K컬처 체험 장소로 전환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정재현 BGF리테일 간편식품팀장은 “최근 K컬처를 다룬 글로벌 화제작 덕에 외국인 관광객들 사이에서 편의점 김밥이 한국에서만 누릴 수 있는 특별한 경험으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며 “앞으로도 국내외 메가 트렌드를 빠르게 포착해 고객들에게 특별한 소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상품과 마케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광고용으로 작성한 글이 아니라는 점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