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선물 김으로 정했다면 '이런 김'을 사야 명품 취급 받습니다

2025-09-18 15:00

add remove print link

바다의 영양을 담은 건강한 별미, 곱창김
요오드와 항산화 성분의 보고, 곱창김의 숨겨진 매력

곱창김은 일반 김보다 향과 식감이 뛰어나 ‘김의 명품’으로 불리며, 최근 건강식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바닷물과 햇볕을 머금고 자란 곱창김은 특유의 구불구불한 모양 때문에 붙은 이름인데, 다른 김에 비해 잎이 두껍고 구수한 맛이 살아 있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겨울철 별미로 즐겨왔으며, 요즘은 건강과 맛을 동시에 챙길 수 있는 식재료로 많은 이들의 식탁에 오르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domnitsky-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domnitsky-shutterstock.com

곱창김에는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들어 있어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켜 준다.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이 김을 자주 찾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칼로리가 낮은 데다 섬유질이 소화 과정을 원활하게 도와 변비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곱창김에는 철분과 칼슘, 마그네슘 같은 무기질이 많이 함유되어 뼈 건강과 빈혈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여성이나 성장기 청소년에게 필요한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어 보완식으로도 손색이 없다.

곱창김의 가장 큰 장점은 요오드 성분이다. 바다에서 자란 해조류답게 곱창김에는 풍부한 요오드가 들어 있어 갑상선 호르몬의 원활한 분비를 돕는다. 갑상선 기능이 떨어지면 쉽게 피로해지고 체중 조절이 어려워지는데, 곱창김을 꾸준히 섭취하면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만 요오드를 과잉 섭취하면 오히려 갑상선 기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하루 5~6장 정도를 꾸준히 먹는 것이 적당하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Viktorya Telminova-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Viktorya Telminova-shutterstock.com

곱창김은 항산화 성분인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A, C가 풍부하다. 이 성분들은 몸속 활성산소를 줄여 노화를 늦추고 면역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환절기에 감기에 잘 걸리거나 피로가 쉽게 쌓이는 사람이라면 곱창김을 간식처럼 챙겨 먹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 혈액 속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도 있어 심혈관 질환 예방에도 긍정적이다.

곱창김을 맛있게 먹는 방법은 다양하다. 가장 흔히 즐기는 방식은 불에 살짝 구워 참기름과 소금을 곁들이는 것이다. 바삭한 식감과 구수한 향이 더해져 밥반찬으로 손색이 없다. 최근에는 샐러드에 넣어 바삭한 토핑으로 활용하거나, 잘게 부숴 주먹밥이나 김밥 속재료로 넣는 경우도 많다. 김 특유의 바다 향이 음식의 풍미를 더해 준다.

특히 곱창김은 유제품과의 조화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즈와 곱창김을 함께 곁들이면 의외로 잘 어울리는데, 짭조름한 김 맛이 치즈의 느끼함을 잡아주고 고소함을 배가시킨다. 요거트 위에 잘게 부순 곱창김을 뿌리면 단백질과 칼슘을 동시에 보충할 수 있어 아침 식사 대용으로도 좋다. 이처럼 전통적인 밥반찬에서 벗어나 다양한 조합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곱창김의 매력이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masa44-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masa44-shutterstock.com

곱창김은 일반 김보다 생산량이 적어 희소성이 높다. 올해 들어 양식 어장의 환경 변화와 기후 요인으로 수확량이 줄면서 가격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곱창김 한 톳의 도매가가 1만 5000원 안팎에 형성돼 있으며, 품질 좋은 상품은 2만 원을 넘기기도 한다. 온라인에서는 선물용으로 포장된 고급 곱창김 세트가 꾸준히 판매되고 있고, 명절이나 특별한 날 선물로 인기가 높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다소 비싸더라도 향과 식감이 뛰어난 곱창김을 찾는 수요가 꾸준하다.

곱창김은 바다의 영양을 고스란히 담고 있으면서도 활용도가 높아 한국인의 식탁에서 오랫동안 사랑받아 왔다. 최근에는 건강과 맛을 동시에 중시하는 흐름 속에서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단순한 반찬을 넘어, 샐러드나 요거트, 치즈와 같은 서양식 식재료와의 조합까지 시도되면서 활용 폭이 넓어지고 있다. 앞으로 곱창김은 전통과 현대 식문화가 어우러지는 대표적인 건강 음식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이처럼 곱창김은 단순히 고급 김이라는 평가를 넘어 건강에 이로운 성분과 다양한 활용법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다만 값이 일반 김보다 높은 만큼 일상에서 조금씩 곱창김을 곁들이며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알뜰하면서도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다.

home 위키헬스 기자 wikihealth75@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