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려 24년 만에 해냈다…첫 수확 성공했다는 고가의 신품종 '이것'
2025-09-18 15:51
add remove print link
기후위기 시대…새로운 품종의 탄생
KGC인삼공사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여 년간 연구 끝에 개발한 신품종 인삼 '선일'이 마침내 첫 수확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최근 전해졌다. 정관장 브랜드로 잘 알려진 KGC인삼공사가 내놓은 이번 성과는 기후위기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인삼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지난 17일 동아일보 등에 따르면 선일은 2001년부터 연구개발이 시작됐다. 약 20년 동안 토양 적응성, 기후 내성, 생육 안정성 등을 검증하는 긴 과정을 거쳤다. 올해 첫 수확에 성공하면서 이제는 농가 현장에 본격 보급할 수 있는 단계에 올라섰다.
인삼은 원래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작물이다. 그러나 최근 이상기후와 폭염이 잦아지면서 여름철 인삼 재배가 큰 타격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문제가 바로 ‘엽소(葉燒)’ 현상이다. 높은 기온으로 잎이 타버리면 광합성이 멈추고, 생장이 중단돼 뿌리 발달도 저해된다.
선일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설계됐다. 잎 표면을 덮는 각피(角皮, 보호막)가 두꺼워 수분 증발이 줄어들고, 고온에서도 잎이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실제 시험 결과 선일의 엽소율은 3.9%에 불과해, 기존 자경종 인삼보다 약 10%포인트 낮았다. 이는 농가 입장에서 안정적인 수확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성과다.
KGC인삼공사에 따르면 현재 전북 고창, 강원 횡성·홍천 등지의 5만㎡ 규모 인삼밭에서 선일이 재배되고 있다. 연구진은 해당 농가를 정기적으로 방문해 종자 순도 관리, 생육 점검, 재배 기술 교육 등을 진행하며 안정적인 보급을 지원하고 있다.

KGC인삼공사는 1970년대부터 품종 개발을 이어온 기업이다. 현재까지 총 17종의 신품종을 확보했으며, 이는 국내 인삼 산업 발전의 기반이 됐다. 국내 신품종 등록 1호인 ‘천풍’은 뿌리 체형이 우수해 최고등급 인삼 비율이 높고, ‘연풍’은 생산량이 많은 고수확형 품종이다. 또 다른 내고온성 품종인 ‘선명’ 역시 폭염에 대응하도록 개발됐다.
이번에 첫 수확된 선일은 KGC인삼공사가 그간 축적해온 연구 역량을 응집한 결과물로, 앞으로 인삼 재배 환경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관장은 한국 인삼 산업의 대표 브랜드로, 특히 6년근 인삼을 원료로 한 홍삼 제품군으로 유명하다. 이번 신품종 개발은 단순히 연구 성과에 그치지 않고, 정관장이 전 세계 시장에서 ‘한국 인삼’의 위상을 지켜내는 기반이 될 수 있다.
※ 광고용으로 작성한 글이 아니라는 점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