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급 공채 경쟁률 확 올랐는데… 정작 현장서 불만 터져 나온 ‘이유’

2025-09-21 18:36

add remove print link

500명 선발에 총 1만 2290명 지원

올해 근로감독·산업안전 분야 7급 국가공무원 공개채용시험에 1만 2000명이 몰리면서 평균 경쟁률이 24.6대 1에 달했다. 이에 정부가 근로감독관 500명을 추가 선발하며 현장 인력 확충에 나섰지만, 고용노동부 안팎에서는 승진 적체와 신규 임용 포기 사태가 잇따르면서 조직 내 혼란이 커지고 있다.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 제1차 시험이 치러진 지난 7월 19일 수험생들이 서울 강남구의 한 시험장에 들어가고 있다. / 뉴스1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 제1차 시험이 치러진 지난 7월 19일 수험생들이 서울 강남구의 한 시험장에 들어가고 있다. / 뉴스1

21일 인사혁신처는 지난 15~19일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500명 선발에 총 1만 2290명이 지원했다고 21일 밝혔다.

행정직군 경쟁률은 47.1대 1, 과학기술직군은 9.6대 1이었다. 특히 행정직(일반행정)은 91명 선발에 6147명이 몰려 67.5대 1로 가장 치열했다.

지원자 평균 연령은 30.7세였다. 20대가 6575명(53.5%)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30대 4320명(35.1%), 40대 1193명(9.7%), 50대 이상 191명(1.6%) 순이었다. 여성 비율은 51.6%(6341명)로 남성(48.4%)보다 높았다.

그러나 고용노동부는 신규 인력을 확대하는 와중에도 대규모 이탈 사태를 맞고 있다. 올해 9급 공채에서 고용노동부에 배치된 합격자 249명 중 61명(24.5%)이 이미 임용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2023년에는 단 한 명 수준의 이탈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이례적이다.

현직 근로감독관들은 인력 증원보다 승진 적체 해소와 보상 체계 개편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한 감독관은 “윗기수가 4년째 승진을 못 하는 상황에서 또 7급을 대거 뽑는 건 납득하기 어렵다”며 “차라리 일을 그만두고 다시 시험을 보겠다는 직원들까지 생기고 있다”고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현장에서는 최저임금 수준의 실수령액, 강도 높은 민원 대응, 승진 불확실성 등이 맞물려 버티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고용노동부의 대규모 인력 확충은 지난 6월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에서 비롯됐다. 당시 이 대통령은 “근로감독관과 산업안전보건감독관이 현장에서 실질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증원 방안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현재 3100명 수준인 근로감독관을 2028년까지 1만 명으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내년도 예산안에는 올해보다 1300억 원 많은 인건비가 반영됐다. 최근 3년 평균 증가율의 6배가 넘는 수준이다.

home 이서희 기자 sh030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