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국 35개 위안부 소녀상…‘철거 압박’에 흔들리는 역사 기억의 상징

2025-09-22 13:27

add remove print link

베를린 소녀상 철거 명령 논란…미국·독일·일본 등 세계 곳곳 설치
백승아 “훼손방지법 조속 처리로 국제 역사왜곡 대응 기반 마련해야”

10개국 35개 위안부 소녀상…‘철거 압박’에 흔들리는 역사. 백승아 의원  / 백승아 의원실
10개국 35개 위안부 소녀상…‘철거 압박’에 흔들리는 역사. 백승아 의원 / 백승아 의원실

[대전=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세계 곳곳에 설치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추모 조형물 ‘평화의 소녀상’이 외교적 압력과 극우세력의 훼손 위협에 놓이면서 국제사회의 역사 인식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독일 베를린에서 10월 7일까지 철거 명령이 내려진 상황은, 위안부 문제를 기억하려는 시민사회의 노력이 외교적 이해관계 속에서 훼손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된다.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여성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해외에 설치된 위안부 소녀상은 총 10개국 35개소에 달한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16개로 가장 많고, 독일 5개, 일본 4개, 중국·필리핀·호주 각 2개, 홍콩·캐나다·이탈리아·스페인 등에 1개씩 설치돼 있다. 국내에는 155개의 소녀상이 설치되어 있다.

백 의원은 “해외에 설치된 위안부 소녀상은 단지 조형물이 아니라, 피해자들을 추모하고 전쟁범죄의 반복을 막기 위한 평화의 상징”이라며 “일본 정부의 외교적 로비와 극우 단체의 지속적 훼손 시도에 대응할 법적 기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여성가족부는 올해 1월 「위안부 피해자 조형물 관리방안」을 마련해 정기점검, 홍보사업, 지자체별 관리계획 수립 등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8월에는 전국 소녀상에 대한 일제 점검도 실시했다고 밝혔다. 앞으로는 조형물 훼손 시 여성가족부에 즉각 보고하도록 하고, 지자체의 관리 책임을 명시한 ‘표준 조례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처럼, 위안부 소녀상은 단지 조형물이 아니라 ‘기억’과 ‘연대’를 상징하는 공공 자산이다. 하지만 정치적 외압과 훼손 위협이 계속되는 한, 이를 공적 자산으로 인정하고 법제화하는 절차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세계 시민사회가 지켜온 기억투쟁은 언제든 무너질 수 있다. 백승아 의원이 발의한 ‘소녀상 훼손 방지법’이 단순한 상징을 넘어 실질적 보호장치로 기능해야 하는 이유다.

home 양완영 기자 top032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