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에 '이 음식' 한번 해보세요…온 가족이 박수 치며 좋아합니다

2025-10-07 07:30

add remove print link

명절 상차림의 별미

추석 연휴가 다가오면 각 가정마다 차례 음식과 명절 요리 준비로 분주해진다. 송편, 전, 나물처럼 전통적인 음식이 빠질 수 없지만, 온 가족이 둘러앉아 함께 먹기 좋은 따끈한 요리를 준비하면 상차림이 훨씬 풍성해진다. 그중에서도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메뉴가 바로 매콤한 소갈비찜이다. 부드러운 갈비와 매콤하면서 달콤한 양념이 어우러져 명절 분위기를 한층 살려준다.

소갈비찜 공장 자료사진.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AI가 생성한 자료사진.
소갈비찜 공장 자료사진.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AI가 생성한 자료사진.

재료 준비

매콤한 소갈비찜을 맛있게 만들려면 좋은 재료를 고르는 것이 첫걸음이다. 기본 재료는 다음과 같다.

소갈비 1kg

무 1/2개 (큼직하게 썰기)

당근 1개 (굵게 썰기)

양파 1개 (굵게 썰기)

대파 1대 (길게 썰기)

마늘 8쪽 또는 다진 마늘 2 큰술

생강 약간 또는 다진 생강 1 작은술

청양고추 2~3개 (어슷 썰기)

고춧가루 3 큰술

간장 6 큰술

설탕 2 큰술

맛술 3 큰술

참기름 2 큰술

후춧가루 약간

물 또는 육수 2컵

통깨 약간

손질과 밑작업

먼저 갈비는 찬물에 2시간 정도 담가 핏물을 제거한다. 중간에 물을 1~2회 갈아주면 불순물이 더 잘 빠져 맛이 깔끔해진다. 핏물이 빠진 갈비는 깨끗이 헹군 후 준비한다. 이후 냄비에 물을 끓여 갈비를 넣고 겉면이 하얗게 변할 때까지 데친 다음 찬물에 헹궈 기름기와 잡내를 제거한다. 이 과정을 거치면 국물이 탁해지지 않고 깔끔하다.

맛있는 소갈비찜.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AI가 생성한 자료사진.
맛있는 소갈비찜.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AI가 생성한 자료사진.

양념장 만들기

매콤하면서도 감칠맛이 나는 소갈비찜의 핵심은 양념장이다. 간장, 고춧가루, 설탕, 맛술, 다진 마늘, 다진 생강, 참기름, 후춧가루를 한 그릇에 넣고 고루 섞는다. 이 양념장은 갈비와 채소에 깊은 맛을 배게 하고, 달큰하면서 매운맛을 동시에 내준다. 기호에 따라 고춧가루 양을 줄이거나 늘려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격적인 조리

큰 냄비에 손질한 갈비를 담고 무, 당근, 양파, 대파, 청양고추를 차례로 올린다. 여기에 준비한 양념장을 붓고 물이나 육수를 넣은 뒤 중간 불에서 끓인다.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중약불로 줄이고 뚜껑을 덮은 채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 천천히 졸인다. 이때 고기가 부드러워지고 양념이 속까지 배도록 중간에 몇 번 뒤적여주면 좋다. 부족한 간은 간장이나 설탕으로 맞추면 된다.

국물이 점차 줄고 갈비가 부드럽게 익으면 불을 끄고 통깨를 솔솔 뿌려 마무리한다. 향긋한 참기름과 고소한 통깨 향이 더해져 완성도 높은 요리가 된다.

맛있게 즐기는 팁

더욱 부드러운 식감을 원한다면 압력솥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압력솥을 이용하면 30~40분 정도면 충분히 고기가 연해지고 육즙이 살아난다. 당근과 무는 큼직하게 썰어 넣어야 식감이 살아 있으며, 청양고추는 매운맛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매운맛을 잘 먹지 못하는 가족이 있다면 청양고추 대신 일반 풋고추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명절 음식으로서의 매력

매콤한 소갈비찜은 명절 차례상에는 올리지 않지만 가족이 모여 즐기는 자리에는 빠지지 않는 인기 메뉴다. 전이나 송편이 기름지고 담백한 맛 위주라면, 갈비찜은 매콤하면서도 진한 풍미로 입맛을 돋워준다. 아이들도 달큰한 맛 때문에 잘 먹고, 어른들도 고기와 채소의 조화를 즐길 수 있어 남녀노소 모두에게 사랑받는다.

추석 연휴에 매콤한 소갈비찜을 준비한다면 가족들의 환호를 받을 만하다. 정성껏 핏물을 빼고, 양념장을 고루 배게 해 천천히 졸여낸 갈비찜은 맛과 향이 모두 풍성하다. 따뜻한 밥 위에 국물 자작한 갈비찜을 얹어 먹으면 그야말로 명절 밥상의 하이라이트가 된다. 올해 추석에는 송편과 전 사이에 매콤한 소갈비찜 한 그릇을 더해 가족들의 박수를 받아보는 것은 어떨까.

유튜브, KBS Entertain
home 권미정 기자 undecided@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