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로 월세 내는 17만 가구…감독 사각지대 ‘불법 카드깡’ 우려 확산

2025-10-01 15:27

add remove print link

윤 정부 출범 후 월세 카드 결제 3배 급증, 할부 비중도 절반 넘어
카드대납·깡 우려 속 대부분 대행사, 금융감독원 ‘무관할’

카드로 월세 내는 17만 가구…감독 사각지대 ‘불법 카드깡’ 우려 확산 / 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카드로 월세 내는 17만 가구…감독 사각지대 ‘불법 카드깡’ 우려 확산 / 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최근 카드로 월세를 내는 가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 제도가 금융사기의 새로운 통로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월세 카드결제 대행업체가 금융당국의 감독망 바깥에 존재하면서, 불법 카드깡 및 카드대납 문제까지 수면 위로 떠올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용갑 의원(더불어민주당, 대전 중구)은 1일 공개한 자료에서, 월세 카드 납부 건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전인 2022년 6만 7,619건에서 2024년 17만 677건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납부 금액도 523억 원에서 1,415억 원으로 892억 원 증가했다. 특히 3개월 초과 할부를 택한 비중이 절반을 넘어, 월세를 일시불로 내지 못하는 임차인의 부담 증가를 방증한다.

문제는 이 결제 시스템의 상당 부분을 카드결제 대행사가 처리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 대행사인 단비페이는 2022~2024년 사이 무려 3,433억 원 규모의 월세 카드 거래를 중개했다. 이는 신한, 현대, 우리, 삼성 등 주요 4개 카드사의 총합(387억 원)의 8배가 넘는다.

그러나 단비페이를 포함한 대다수 대행사는 금융위원회에 등록된 전자지급결제대행업(PG)이 아니며, 결제대금예치업 역시 신고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이들 업체는 금융감독원의 직접적인 관리·감독 대상이 아니다. 수수료 또한 카드사가 0.4~1.45%인 반면, 일부 대행사는 최대 9.9%까지 부과하고 있어 ‘고금리 구조’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실제로 일부 대행사는 오픈채팅방 등을 통한 사칭 피해 및 불법 카드깡 사례가 공지사항으로 포착된 바 있다. 제도의 허점을 노린 범죄 가능성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카드로 월세 내는 17만 가구…감독 사각지대 ‘불법 카드깡’ 우려 확산. 박용갑 의원 / 의원실 제공
카드로 월세 내는 17만 가구…감독 사각지대 ‘불법 카드깡’ 우려 확산. 박용갑 의원 / 의원실 제공

박용갑 의원은 “청년과 서민의 주거비 부담을 덜자는 취지로 도입된 월세 카드 납부 제도가 불법의 온상이 될 우려가 있다”며 “정부는 수수료 상한선 규제, 전자금융업 등록 의무화 등을 통해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핀란드나 싱가포르처럼 주택 임대·금융 결제의 전 과정을 공공이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도입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제도의 취지는 유지하되, 제도 밖 회색지대를 제거하는 정책 설계가 시급한 시점이다.

home 양완영 기자 top032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