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억원 넘게 벌어들인 레전드 '이 영화'…10월 넷플릭스에 드디어 공개

2025-10-08 11:30

add remove print link

고전을 현대적으로 뒤집은 파격 로맨스

한국인이 사랑하는 OTT 넷플릭스에 또 하나의 명작이 올라온다.

'로미오+줄리엣' 중 한 장면. / 유튜브 '투치'
'로미오+줄리엣' 중 한 장면. / 유튜브 '투치'

바로 1996년 개봉한 영화 '로미오+줄리엣'에 대한 소식이다.

'로미오+줄리엣'은 고전 희곡을 과감히 현대적으로 해석한 작품으로, 개봉 당시부터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바즈 루어만 감독은 셰익스피어의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 대사와 극적 구조는 그대로 두면서 배경을 현대 도시 베로나 비치로 설정하는 파격 행보를 보였다.

검 대신 총이 등장하고, 무대의상이 아닌 1990년대 특유의 패션과 화려한 색채, MTV 스타일의 빠른 편집, 팝 음악이 더해지며 전혀 새로운 감각의 비주얼을 완성했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로미오를, 클레어 데인즈가 줄리엣을 맡아 당시 리즈 시절의 풋풋한 매력과 강렬한 연기를 보여줬고, 두 배우는 이 작품을 통해 세계적인 청춘 스타로 자리 잡았다.

'로미오+줄리엣' 가장 큰 특징은 셰익스피어의 원작 대사를 거의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무대는 현대적 도시 공간이라는 점이다. 몬태규와 캐퓰릿 두 가문은 대기업으로 재해석됐고, 길거리 총격전이 극의 긴장을 이끈다. 캐릭터 캐스팅 또한 다양성을 반영했다. 머큐시오는 흑인 배우가 맡아 강렬한 카리스마를 보여줬고, 티볼트는 라틴계 배우로 등장하며 독특한 대비를 만들어냈다.

'로미오+줄리엣' 스틸컷. / 20세기 폭스 제공
'로미오+줄리엣' 스틸컷. / 20세기 폭스 제공

관객은 고전 대사의 운율과 현대적 배경의 충돌이 만들어내는 독특한 긴장감을 경험하게 된다. 이는 당시 영화계에선 파격적인 시도였고, 이후 스타일리시한 문학 각색 영화의 대표적 사례로 회자됐다.

이 영화의 또 다른 매력은 사운드트랙이다. 라디오헤드의 'Exit Music (For a Film)'은 엔딩 크레딧에 삽입되며 영화와 함께 전설적인 명곡으로 남았다. 가비지, 디스 리틀 라이트 오브 마인 등 90년대 감성을 대표하는 곡들이 삽입돼 작품의 스타일리시한 정체성을 강화했다.

영상적으로도 화려한 색채, 기하학적 구도, 과장된 카메라 워크가 당시 MTV 뮤직비디오 세대를 겨냥하며 젊은 층을 강하게 사로잡았다. 그 결과 ‘로미오+줄리엣’은 1990년대 청춘을 상징하는 영화로 자리매김했다.

흥행 성과도 눈부셨다. 전 세계 박스오피스에서 1억 4천만 달러(한화 약 2000억 원 이상)를 벌어들이며 상업적으로도 크게 성공했다.

'로미오+줄리엣' 포스터. / 20세기 폭스 제공
'로미오+줄리엣' 포스터. / 20세기 폭스 제공

수상 기록 또한 화려하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이 작품으로 베를린 국제영화제 은곰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고, 클레어 데인즈는 MTV 무비 어워드 여우주연상을 거머쥐었다. 바즈 루어만 감독은 BAFTA 시상식에서 각색상을 받으며 작품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인정받았다.

전 세계에서 2000억 원이 넘는 흥행 수익을 기록하고,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클레어 데인즈라는 배우를 세계적인 스타 반열에 올려놓은 영화 ‘로미오+줄리엣’. 이 전설적인 영화가 오는 18일 넷플릭스에 정식으로 올라온다. 1990년대 아이콘이자 고전의 현대적 변주라는 평가를 동시에 받은 이 작품은 이제 넷플릭스 스트리밍을 통해 한국 관객에게 다시 다가온다.

이는 단순한 고전 재감상 기회를 넘어 디지털 세대가 스트리밍 환경에서 새롭게 접할 수 있는 통로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셰익스피어 원작의 비극적 사랑 이야기를 현대적 미장센과 함께 재해석한 이 작품은 2025년 현재에도 여전히 색다른 감각을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유튜브, 투치
home 권미정 기자 undecided@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