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보이스피싱 피해 3년간 585억…서민 금융 ‘구멍’ 드러났다
2025-10-03 13:34
add remove print link
부산·서울·광주 지점 집중 피해, 고령층과 청년층 직격탄
“해외는 금융보안 강화 추세…국내는 여전히 느슨한 관리”

[대전=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보이스피싱 범죄가 갈수록 진화하며 서민 금융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 전국 곳곳에 촘촘히 퍼져 있는 새마을금고에서 최근 3년간 585억 원, 3,008건에 달하는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고령층과 청년층을 집중 노린 이 범죄는 단순한 개별 금융사고가 아니라 국가적 대응이 필요한 사회 문제로 번지고 있다.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 보이스피싱 피해 규모는 2023년 119억 원, 2024년 270억 원으로 급증했고, 2025년 상반기에도 이미 196억 원을 기록했다. 피해 건수 역시 같은 기간 980건에서 893건으로 늘어 연말까지는 전년도 기록을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부산 전포1동점(15억 원), 서울 동대문동부점(12억 원), 광주·전남 중흥점(10억 원) 등 일부 지점에서 피해가 집중됐다.
문제는 새마을금고가 주로 읍·면 단위에 자리해 고령층과 금융 취약계층이 많이 이용한다는 점이다. 금융사기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보안 시스템과 인력 배치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외에서는 이미 금융보안 강화를 위해 제도적 보완이 활발하다. 일본은 금융기관 전반에 ‘고객 확인 의무(KYC)’를 강화했고, 싱가포르는 은행-통신사-정부 간 실시간 협력체계를 가동해 보이스피싱 피해를 크게 줄였다. 반면 한국은 사건이 터질 때마다 땜질식 대책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박정현 의원(더불어민주당, 대전 대덕구)은 “새마을금고 보이스피싱 피해는 매년 늘어나고 있다”며 “20대 청년과 60대 이상 고령층이 피해의 중심이라는 점에서 금융당국의 보다 강력한 예방과 감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이스피싱 범죄가 국가 경제의 근간인 서민 금융을 흔드는 상황에서, 정부와 국회는 금융기관의 보안 의무를 강화하고, 피해자 지원 시스템을 제도화해야 한다. 해외 선진사례처럼 금융·통신·사법기관의 실시간 공조 체계를 구축하지 않는다면, 피해 규모는 앞으로도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