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장 10일간 추석 연휴 막바지… 내년 황금 연휴는 언제?

2025-10-09 21:00

add remove print link

내년 설날 휴일 2월 16~18일

최장 10일간의 추석 연휴가 막바지에 다다른 가운데, 내년 장기 연휴에 관심이 쏠렸다.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Arunas Gabalis-shutterstock.com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Arunas Gabalis-shutterstock.com

내년에 비교적 공휴일이 많은 달은 5월로, 근로자의 날(5월 1일)은 금요일, 어린이날(5월 5일)은 화요일이다. 따라서 5월 4일(월)에 연차를 쓰면 최대 5일간 쉴 수 있다. 부처님 오신 날(5월 24일)은 주말과 겹치지만 25일(월)에 대체휴일이 적용돼 주말 포함 사흘간 쉴 수 있다.

내년 1월은 신정을 제외하면 공휴일이 없으며 3월에는 삼일절이 주말과 겹쳐 대체공휴일 하루만 발생한다. 설날 휴일은 2월 16~18일이다.

월요일부터 수요일까지 설날 휴무여서 연휴는 앞의 주말을 포함해 닷새다. 목요일과 금요일 이틀 연차를 쓰면 14일부터 22일까지 최장 9일 연휴를 즐길 수 있다.

이번 황금연휴처럼 최장 10일에 달하는 연휴는 2044년 추석에나 다시 돌아올 예정이다. 2044년 10월 7일에 하루를 쉬면 최장 9일의 연휴를 누릴 수 있다.

가장 가까운 연휴는 오는 12월 25일 목요일 크리스마스다. 하루 뒤인 26일 금요일에 연차를 쓰면 주말까지 이어져 총 나흘 동안 연휴를 보낼 수 있다. 개천절이 금요일이었고, 본격적인 추석이 일요일부터 시작되면서 하루 대체공휴일이 추가됐다. 따라서 오는 10일 하루 연차를 쓰면 오는 12일 일요일까지 열흘간 쉴 수 있다.

9일 오전 서울 서초구 잠원IC 인근 경부고속도로에서 차량들이 서행하고 있다.  / 뉴스1
9일 오전 서울 서초구 잠원IC 인근 경부고속도로에서 차량들이 서행하고 있다. / 뉴스1

한편 추석 연휴의 마지막 날인 9일 주요 기차역과 버스터미널, 고속도로에는 귀경 행렬이 이어졌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9일 오후 4시 기준 각 도시 요금소에서 서울요금소까지 걸리는 예상 시간은 ▲ 부산 5시간 30분 ▲목포 5시간 ▲울산 5시간 10분 ▲대구 4시간 30분 ▲광주 4시간 50분 ▲강릉 3시간 40분 ▲양양 2시간 ▲대전 2시간 등으로 확인됐다.

도로공사는 9일 하루 전국에서 차량 513만 대가 이동할 것으로 예상했고 귀경길 정체는 오후 4∼5시 가장 심했다가 오후 10시부터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home 이서희 기자 sh030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