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을 하루에 1명꼴로 납치…” 결국 공식적으로 말 나온 '이 나라'

2025-10-10 16:16

add remove print link

캄보디아 내 한국인 실종·납치 급증…해외 체류 국민 안전대책 시급

캄보디아에서 우리 국민이 잇따라 실종되고 납치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해외 범죄 조직에 의한 인신매매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정부가 해외 체류 국민 보호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근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을 통해 “대한민국 국민이 범죄 조직의 상품으로 팔려가고 있다”며 정부의 대응 부실을 비판하고 신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나 의원은 “해외에서 우리 국민이 납치·감금·실종되는 참극이 벌어지고 있다”며 “국가가 국민을 보호해야 할 책무를 다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생성 이미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생성 이미지

실제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와 실종 신고는 최근 몇 년 사이 급증했다. 나 의원이 제시한 통계에 따르면 2022년~2023년 연간 10~20건 수준이던 신고 건수는 지난해 220건으로 급등했고, 올해 8월까지 330건에 달했다. 특히 ‘고수익 해외 취업’을 미끼로 한 인신매매와 감금, 폭행 피해 사례가 다수 확인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목숨을 잃거나 의식불명 상태로 발견된 사례도 있다. 캄보디아를 방문했던 한 대학생은 귀국을 앞두고 현지에서 납치·감금된 뒤 송금 협박전화가 걸려왔고, 얼마 지나지 않아 주검으로 발견됐다. 또 다른 40대 남성은 여행 중 실종됐다가 혼수상태로 발견됐다.

한국인 체포자 수도 크게 늘고 있다. 현지 당국에 따르면 2023년 3명이던 체포자는 2024년 46명으로 증가했고, 올해 1~7월 사이에는 이미 144명이 체포됐다. 같은 기간 취업 사기·감금 피해 사례도 252건으로, 지난해 17건에서 14배 이상 급증했다.

나 의원은 “피해자 다수는 불법 취업 알선 조직에 속아 현지 범죄단지에 끌려간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체포 이후 인권 침해 문제도 심각하다”며 “부패한 공권력으로 인해 피해자들이 돈을 내고 풀려나거나, 다른 조직에 되팔리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지난 5월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지역에서 범죄 조직 단속 중 체포된 한국인 15명은 국내 송환이 예정됐으나, 불과 2주 만에 또 다른 범죄 조직에 넘겨졌다는 제보가 나왔다. 구금된 피해자들은 하루 두 끼 식사로 연명하며, 물품 가격이 터무니없이 비싼 환경에서 금품을 빼앗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초코파이 한 개가 4달러, 베개 사용료가 280달러, 휴대전화 사용료가 800달러에 달한다는 증언도 전해졌다.

또 다른 피해 영상에서는 중국계 조직원이 한국인 피해자에게 마약 흡입을 강요하는 장면이 포착돼 충격을 주기도 했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 뉴스1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 뉴스1

피해자 가족과 현지 교민 사회는 정부의 대응이 미흡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일부 피해자는 “영사를 기다렸지만 만나지 못했다”며 도움을 요청했으나 현지 공관의 조력이 부족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외교 당국은 “현지 수사 기관 및 국제기구와 협조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히며, 사건의 구체적 실태 파악에 나선 상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피해가 단순 범죄를 넘어 구조적 문제로 번지고 있다고 경고한다. 한국외대 국제지역연구소의 한 연구원은 “동남아 지역의 온라인 불법 산업이 확대되면서, 한국인을 포함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취업 사기가 늘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사전 경고 시스템과 해외 공관의 실시간 대응 체계가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국제법 전문가는 “해외 범죄 피해 대응은 한 국가의 외교력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피해자 송환과 범죄 조직 단속에는 외교부뿐 아니라 경찰청, 국정원, 검찰 등 관련 기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나 의원은 “국가 차원의 긴급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외교부·경찰청·법무부 등 관계 부처가 합동으로 피해 실태를 전면 조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UN과 인터폴 등 국제기구와의 공조를 통해 현지 부패 공권력의 책임을 엄격히 묻고, 캄보디아 정부에도 피해자 송환과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국민 보호 외교’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단순히 범죄 수사를 넘어, 해외에서 위험에 노출된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적 시스템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최근 급증하는 동남아 지역 범죄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국민의 경각심도 필요하다. ‘고수익 해외 취업’이나 ‘단기 일자리’ 등 현지 브로커의 제안을 받을 때는 반드시 정부의 공식 채널을 통해 확인하고, 여행 전에는 외교부 ‘여행경보제’와 ‘해외안전여행 등록제(동행)’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전문가들은 “해외 어디서든 ‘나의 안전은 스스로 확인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물론 국민 개개인의 주의가 더해질 때만이 또 다른 비극을 막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home 김민정 기자 wikikmj@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