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하네…부여 부소산성서 첫 발견된 백제시대 '이 시설'
2025-10-13 14:01
add remove print link
물 저장고 갖춘 빙고 발견…너비 7mX8m, 깊이 2.5m
빙고 성공적 축조 기원하는 '지진구'도 발견돼
충남 부여군에 위치한 부소산성에서 물 저장고가 있는 얼음 창고가 처음으로 발견되며 백제 사비기 왕궁터의 구체적 실체에 접근할 가능성이 전망됐다.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부소산성에 대한 제17차 발굴조사 과정에서 빙고(氷庫, 얼음을 넣어 두는 창고)와 지진구(건물을 짓기 전 토지신에게 건물과 대지의 안전을 기원하기 위해 봉안하는 상징물)를 발견했다고 13일 밝혔다.
17차 발굴조사에서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는 부소산성의 가장 높고 평탄한 대지를 조사하며, 백제 왕궁의 위계 공간으로 추정되는 대지조성층과 굴립주 건물지, 와적기단 건물지를 발견한 바 있다. 이 발굴조사를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빙고와 지진구가 추가 확인됐다.
빙고는 17차 조사구역 동쪽 끝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평면은 사각형이며 내부 단면은 U자형이다. 규모는 동서 길이 약 7m, 남북 너비 약 8m, 깊이는 2.5m이다. 초기에는 암반을 파서 벽으로 사용하다가 어느 시점에서 남쪽 벽에 방형으로 깎은 돌을 세워 공간을 축소한 것으로 보인다. 바닥의 중앙에 길이 230cm, 너비 130cm, 깊이 50cm로 땅을 파서 구덩이를 만든 후 남쪽에 할석(깬 돌)을 채운 시설을 만들었다. 이것은 빙고 안에서 발생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물 저장고(집수정)로 추정된다.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에 따르면 이러한 빙고는 얼음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특수시설로 강력한 왕권과 국가 권력이 있어야만 구축·운영할 수 있었던 특별한 위계적 공간으로 풀이된다.

지진구는 직각형태로 목이 짧으며 그 위에 둥근 구슬모양의 손잡이가 달린 뚜껑이 덮여 있다. 내부에서는 오수전 5점이 발견됐다. 오수전은 무게가 5수(약 3.25g)인 중국 동전(B.C.118~A.D.620 사용)이다. 보통 백제시대의 지진구는 성토된 대지나 축대, 마당지와 같은 전체 대지의 안정을 기원하는 공헌의례나 개별 건물지에 대한 의례 행위에 쓰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에 확인된 지진구는 대지조성층이 아닌 생토를 굴착해 조성됐고 주변에 건물은 빙고만이 확인되고 있어 빙고의 성공적인 축조를 기원하기 위해 봉안된 것으로 해석된다.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는 이날 18차 발굴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18차 발굴조사에서는 조선시대 군용 식량 창고였던 군창지 서쪽 지역을 조사할 예정이다. 해당 지역은 지난 17차 조사에서 확인된 건축물과 연결될 가능성이 높은 구역으로, 백제 사비기 왕궁터의 구체적 실체를 밝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