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이 드디어 해냈다…'잡곡밥' 최적 비율 찾아냈다, 그 비율은 몇 대 몇?

2025-10-14 13:06

add remove print link

농진청 "잡곡밥 취반 특성 연구와 질환별 맞춤 잡곡 혼합 기술 개발 이어갈 계획"

농촌진흥청이 당뇨병과 고혈압 등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인 잡곡밥의 최적 혼합 비율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산업화 단계로 끌어올려 주목받고 있다.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AI가 생성한 자료사진.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AI가 생성한 자료사진.

농진청은 항당뇨·항고혈압 활성이 높은 잡곡 품종을 선별하고, 실험과 분석을 거쳐 최적 혼합비를 설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잡곡 속 식이섬유, 폴리페놀, 단백질 등 기능성 성분의 함량과 생리활성을 기준으로 조합이 이뤄졌다.

당뇨병 예방을 위한 최적 비율은 '귀리 30%, 수수 30%, 손가락조 15%, 팥 15%, 기장 10%'인 것으로 밝혀졌다. 고혈압 예방에는 '손가락조 30%, 수수 35%, 팥 35%' 조합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리와 수수는 혈당 상승 억제에 탁월하고, 손가락조와 팥은 혈관 수축을 막아 혈압 조절에 도움을 주고, 기장은 항산화 효과를 보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시판 혼합잡곡은 주로 고소한 맛, 쫀득한 식감을 내기 위한 감각적 배합에 머물렀다. 농진청은 이 한계를 넘기 위해 기능성분 분석, 세포 실험, 인체 적용 시험을 단계별로 진행했다. 그 결과 잡곡별 생리활성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났다. 귀리에는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베타글루칸이 풍부했고, 수수와 손가락조에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같은 항산화 물질이 다량 함유돼 있었다. 팥은 혈관 확장을 돕는 칼륨과 식이섬유가 풍부해 고혈압 완화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잡곡들. 자료사진. / 뉴스1
잡곡들. 자료사진. / 뉴스1

농진청은 이번 기술을 특허로 등록하고, 대상웰라이프·웬떡·정심·보람푸드 등 국내 9개 업체에 기술 이전을 완료했다. 각 기업은 잡곡 제품과 건강식품, 기능성 케어푸드 등 다양한 형태로 상품화를 추진 중이다.

하태정 농진청 품질관리평가과장은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잡곡밥 취반 특성 연구와 질환별 맞춤 잡곡 혼합 기술 개발을 이어갈 계획"이라며 "국산 식량작물이 돌봄식(케어푸드) 등 산업 소재로 활용되면서 소비 확대와 농가 소득 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해당 성과가 주목받는 또 다른 이유는 시장 규모 때문이다. 국내 특수의료용도식품 시장은 2024년 기준 약 6,374억 원 규모지만, 2033년에는 1조 8,860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와 만성질환자의 증가, 맞춤형 식단에 대한 수요 확산이 맞물리며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농친청의 이번 연구는 단순히 건강식 개발을 넘어 국내 농업과 식품 산업의 구조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고령화 사회에서 ‘먹는 치료제’ 역할을 할 국산 잡곡의 가치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다양한 잡곡들. 자료사진. / 뉴스1
다양한 잡곡들. 자료사진. / 뉴스1

잡곡밥, 왜 백미보다 좋을까?

잡곡밥은 단순한 다이어트식이 아니다. 백미보다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물질이 2~3배 이상 풍부하게 함유돼 있어 혈당 조절, 혈압 완화, 변비 개선, 대사증후군 예방 등에 탁월한 효과를 낸다.

식이섬유는 포도당 흡수를 늦춰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것을 막고, 인슐린 과다분비를 억제해 비만과 당뇨 예방에 기여한다. 또한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등의 항산화 물질은 세포 손상을 막고 면역력 강화를 돕는다. 마그네슘, 철, 아연 등 미네랄은 혈압 조절, 피로 해소, 심혈관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잡곡은 영양이 풍부하지만, 과다 섭취는 소화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잡곡을 불릴 때는 최소 30분 이상 물에 담가 전분을 부드럽게 하고, 너무 오래 불리면 영양소가 손실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또한 체질에 따라 잡곡 선택이 달라져야 한다. 당뇨 환자는 귀리·수수·팥 중심의 조합이 좋고, 고혈압 환자는 손가락조·수수·팥 위주의 배합이 효과적이다. 위장이 약한 사람은 기장·보리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 부담이 덜하다.

유튜브, 핏바이브
home 권미정 기자 undecided@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