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호건 전남도의원, “지역소멸 해법은 통폐합이 아닌 생활방식 전환”

2025-10-15 18:56

add remove print link

일본 대합병의 부작용 교훈 삼아, 행정구역 재편보다 생활밀착형 대응 강조
지역 정체성 유지·청년 정주여건 개선 등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모델 제시

[위키트리 광주전남취재본부 노해섭 기자]전남도의회 진호건 의원(더불어민주당·곡성)은 10월 15일 열린 제394회 임시회 제1차 기행행정위원회 회의에서 「지역소멸시대, 새로운 생활방식 전환 준비 촉구 건의안」을 대표 발의하며, 저출생·초고령화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했다.

진호건 전남도의원
진호건 전남도의원

진 의원은 “우리 사회는 저출생과 고령화로 지역소멸의 위기를 맞고 있으나, 단순한 행정구역 통폐합만으로는 문제 해결이 어렵다”며 “이제는 생활방식 전환과 지역공동체의 지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일본의 ‘헤이세이 대합병’ 사례를 언급하며 “행정 효율성은 어느 정도 달성했지만 지역 정체성과 주민서비스가 약화되고 불균형이 심화되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 농산어촌은 일본보다 더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어, 행정구역 재편이 아니라 생활밀착형 정책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번 건의안은 생활 현장에서 체감 가능한 대응체계를 핵심으로 제시했다.

주요 내용은 ▲ 읍·면 단위 맞춤형 생활서비스 체계 구축 ▲ 디지털 기반 생활지원 시스템 도입 ▲ 로컬화폐 및 협동조합을 통한 지역 순환경제 활성화 ▲ 권역별 연합체제 도입 ▲ 청년이 머물고 돌아오는 정주 통합 정책 마련 등이다. 진 의원은 이를 통해 지역 정체성을 지키고, 이동·돌봄·문화·일자리 등 생애 전 주기 생활 인프라를 촘촘히 보완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모델을 구현하겠다는 구상이다.

진 의원은 “지역소멸 위기는 더 이상 미래의 이야기가 아닌 지금 당면한 현실”이라며 “정부가 일본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지역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살린 생활밀착형 정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해당 건의안은 상임위원회 심사를 거쳐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될 예정이며, 의결 후 정부와 국회에 전달되어 지역소멸 대응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요청될 계획이다.

home 노해섭 기자 noga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