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대신 기계가 찻잎 딴다~보성 녹차, 첨단기술로 위기 돌파

2025-10-17 02:34

add remove print link

사람 대신 기계가 찻잎 딴다~보성 녹차, 첨단기술로 위기 돌파

[위키트리 광주전남취재본부 노해섭 기자]인력난과 생산비 상승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던 국내 최대 녹차 산지 보성군이 첨단 기술을 통해 위기 돌파의 해법을 찾았다.

백록다원에서 전라남도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녹차 전남 Top 경영모델 실용화사업 연시회’를 개최했다.
백록다원에서 전라남도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녹차 전남 Top 경영모델 실용화사업 연시회’를 개최했다.

단 2명이 기계에 올라타 20명의 인력을 대체하는 혁신적인 경영 모델을 선보이며, 보성 차(茶) 산업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청신호를 켰다.

####인건비 96% 절감, '스마트 수확'의 시대

지난 15일, 보성의 한 다원에서 열린 '녹차 경영모델 실용화 연시회'에서 모든 이의 시선은 한 대의 승용 수확기에 쏠렸다. 이 기계가 첫물차 1헥타르(ha)를 수확하는 데 필요한 인력은 단 2명. 기존 20명이 투입되던 것에 비하면 인건비를 무려 96%나 절감하는 놀라운 효율이다. 이날 현장에 모인 30여 명의 차 농가와 관계자들은 눈앞에서 펼쳐진 '스마트 수확'의 혁신에 감탄을 쏟아냈다.

####균일한 품질은 덤, 상품성까지 잡았다

승용 수확기의 도입은 단순히 인력 문제만 해결하는 것이 아니다. 기계는 사람의 손보다 더 균일하게 찻잎을 수확해 품질 안정성을 높인다. 이는 곧바로 수확량 증대와 상품성 향상으로 이어져 농가 소득에 직접적인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공 기술 혁신, '마시는 녹차'를 넘어

이번에 선보인 경영 모델은 생산 단계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전통 발효차인 '떡차(餠茶)'와 다양한 재료를 섞는 '블렌딩차'를 만들 수 있는 새로운 가공 설비 도입도 핵심이다. 이는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키며 보성 녹차의 부가가치를 한 단계 끌어올리고, 6차 산업으로의 확장을 가속화하는 발판이 될 전망이다.

####소득 30% 향상, 희망을 보다

보성군은 이번 경영모델이 확산될 경우, 노동 시간은 90% 가까이 줄어드는 반면 농가 소득은 1헥타르당 기존 3,500만 원에서 4,600만 원으로 30% 이상 뛸 것으로 분석했다.

김숙희 보성군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이번 시연은 보성 차 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의미 있는 사례"라며 "생산부터 가공, 유통까지 아우르는 혁신 모델을 더욱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home 노해섭 기자 noga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