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까지 문 닫을 판…이제는 사 먹기도 힘들어졌다는 ‘국민 식재료’

2025-10-20 09:38

add remove print link

40여 개 제조사 공장 가동 중단

하루 수만 모씩 생산되던 국민 식재료가 원료 부족으로 생산이 멈출 판이다. 수입 콩 부족으로 두부의 원료 공급이 끊겼기 때문이다.

두부 제조 공장 자료사진 / Juru Desain-shutterstock.com
두부 제조 공장 자료사진 / Juru Desain-shutterstock.com

두부와 장류에 사용되는 원료의 약 80%를 차지하는 수입 콩이 부족해지자 농림축산식품부가 뒤늦게 보유 물량 일부를 시장에 공급했지만, 물량이 적고 일부는 공매로 진행돼 과열 경쟁 끝에 낙찰을 받지 못한 업체가 속출했다.

콩 가공업계에 따르면 강원 지역 40여 개 두부 제조사가 11월 초 공장 가동을 중단하며, 광주·전남 지역 80여 개 제조사도 같은 달 중순 원료가 소진될 것으로 보여 공장 운영이 어려운 상황이다. 두유 제조업체들도 11월부터는 재고가 바닥나 정부에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최선윤 강릉초당두부 회장은 43년간 두부를 만들어왔지만 원료 부족으로 공장을 멈추게 된 건 처음이라며,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과 배임 여부를 따질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수입된 콩은 27만 톤으로 지난해보다 약 13% 감소했다. 식품업계는 연말까지 최소 1만 톤의 추가 물량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농식품부는 국산 콩 사용을 유도하고 있으나, 수입 콩보다 가격이 세 배 이상 비싸 현실적인 대체가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달 1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처음 공매한 수입 콩 9290톤에 대해 입찰이 진행됐다. 평균 낙찰가는 톤당 60만 5496원으로, 지난해 12월 낙찰가보다 70% 넘게 올랐다. 콩 수입량 감소로 업체들이 공급 확보에 나서면서 입찰 경쟁이 과열된 결과다.

두부 김치찌개 자료사진 / RF97-shutterstock.com
두부 김치찌개 자료사진 / RF97-shutterstock.com

강원연식품협동조합, 광주전남연식품협동조합, 한국두부류협동조합 등은 1000~1800톤의 물량이 부족해 이번 공매에 참여했지만 낙찰가보다 낮은 가격을 써내 탈락했다. 한국두부류협동조합의 한일홍 전무는 정부가 공급 가격을 안정시켜야 할 책임이 있음에도, 공매 방식으로 오히려 시장 혼란을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이들 조합 소속의 두부 제조사들은 당장 한 달도 버티기 어려운 상황이다.

aT의 공매는 ‘수입 콩 자체’를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 등 생산국에서 수입할 수 있는 ‘수입권’을 입찰에 부치는 방식이다. 이번에 웃돈을 얹어 수입권을 낙찰받은 업체들도 실제 콩이 도착하려면 최소 2~3개월이 걸려 12월이 되어야 원료가 도착한다.

한국경제에 따르면 연세유업과 매일유업 등 두유 제조사들은 재고가 소진될 시점을 앞두고 타 조합에 긴급히 원료를 요청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 연세유업 관계자는 공매가 더 일찍 진행됐더라면 이 같은 혼란은 피할 수 있었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이번 사태에 대해 정부의 수요 예측 실패라는 비판도 나온다. 공매 물량이 부족했던 데다, 예상과 달리 개별 업체까지 대거 입찰에 참여해 과열 경쟁을 부추겼다는 것이다.

부침 두부 자료사진 / sungsu han-shutterstock.com
부침 두부 자료사진 / sungsu han-shutterstock.com

농식품부는 aT를 통해 지난달 직배 방식으로도 1만 5000톤을 공급했으나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기엔 턱없이 부족했다. 현재 보유한 수입 콩 재고는 약 6000톤 수준으로, 내년 초 공급을 대비해야 해 올해 안에 추가 공급은 어려운 상황이다.

올해 전체 수입 콩 공급량은 27만 톤으로, 지난해보다 1만 6000톤 줄었다. 정부는 국산 콩 소비 확대를 위해 수입 콩 쿼터를 줄였고, 내년에도 이 방침을 이어갈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대기업 중심으로 국산 콩 사용을 유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두부와 된장 제조사들은 수입 콩보다 세 배 이상 비싼 국산 콩을 사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강릉초당두부 양득철 전무는 원가 상승으로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매할 수 없는 구조라며, 국산 콩 소비를 제조사에 떠넘기는 건 무리라고 말했다.

home 김지현 기자 jiihyun1217@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