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통합, 경쟁력인가 소멸신호탄인가”
2025-10-20 12:16
add remove print link
공주대·충남대 통합 추진에 지역사회 ‘집단 반발’…해외 사례는 ‘온도차’
공주 의회 “지역의 존립 기반 흔드는 결정…공주대는 지켜야 할 자산”

[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지방 국립대학의 통합이 ‘교육 경쟁력 강화’라는 이름으로 추진되는 가운데, 지역 공동체가 이를 정면 반대하고 나섰다. 공주대학교와 충남대학교의 통합을 전제로 예비 선정된 글로컬대학 사업에 대해, 공주시의회와 지역 사회는 “지역 존립 기반을 뒤흔드는 결정”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 같은 반응은 단순한 감정적 거부가 아니다. 공주시는 이미 고령화와 청년 인구 유출로 인구 감소 위기에 직면한 상황이다. 그런 상황에서 유사 학과 통폐합과 학생의 대전 캠퍼스 이동이 현실화되면, 지역 상권 위축, 정주 인구 감소, 교육 도시 이미지 손상 등 파장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공주시의회 임달희 의장은 “공주대는 단순한 학교가 아니라 공주의 정체성과 자산”이라며 “통합으로 학생이 떠나면 인구 유지 기반이 무너지고, 지역경제는 직격탄을 맞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해외 사례도 엇갈린다. 일본은 지방 국립대 통합을 통해 일부 행정비용 절감과 연구역량 강화 성과를 얻었지만, 지역 인구와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로 ‘지방 공동체 해체’ 비판을 받기도 했다. 반면 노르웨이는 통합 과정에서 지역본부 기능을 강화하고, 지역별 캠퍼스를 고유한 역할 중심으로 분화해 지역 균형을 유지한 바 있다.
결국 관건은 통합의 방식과 방향성이다. 단순히 행정 효율성만을 따질 것이 아니라, 해당 대학이 지역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해왔는지, 그리고 어떤 대안적 발전 경로가 가능한지에 대한 총체적 고민이 선행돼야 한다.
지역 국립대는 단지 교육기관이 아니라 지역 균형발전의 축이다. 통합 논의가 지역의 생존 문제와 맞닿아 있는 이상, 공주대 문제는 충남만의 일이 아니다. 이대로 간다면, 교육정책이 아닌 지역소멸정책으로 전락할 수 있다. 정부와 대학 당국은 그 무게를 직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