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한미관계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 '급변'
2025-10-21 14:23
add remove print link
'악화됐다' 응답 3배↑... 정치 성향 불문하고 부정 평가 늘어

통일연구원의 'KINU 통일의식조사 2025'에서 한미관계가 악화했다고 평가하는 국민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자국우선주의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면서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는 추세를 보였다. 통일연구원은 2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KINU 통일의식조사 2025'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리서치를 통해 지난 7월 10일부터 8월 13일까지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대면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조사 결과 '지난 1년 동안 한미관계가 악화됐다'고 평가한 응답자가 36.6%로 나타났다. 지난해 4월 조사의 12.7%와 비교하면 23.9%포인트 급증한 수치다. 2022년 4월 조사에서 10.7%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불과 3년 사이 25.9%포인트나 증가한 것이다.
지지 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36.4%, 국민의힘 지지층 38.4%, 무당파 36.6%가 한미관계 악화를 지적해 정치 성향에 관계없이 비슷한 인식을 보였다. 지난해 조사에서는 민주당 지지층 17.5%, 국민의힘 지지층 7.0%, 무당파 8.7%가 한미관계 악화를 지적했던 것과 비교하면 모든 정치 성향에서 한미관계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급증했다.
향후 5년 내 한미관계 전망에 대해서도 부정적 시각이 확산했다.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이 20.4%로 나타나 2022년 4월 조사의 4.8%와 비교해 15.6%포인트 급증했다. '지금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56.9%,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22.6%였다. 2022년 조사에서는 '좋아질 것'이 31.5%였던 것과 비교하면 8.9%포인트 감소했다.
미국의 자국우선주의에 대한 인식도 강화됐다. '미국이 국제 정책을 결정할 때 한국의 이익을 별로 또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이 65.7%로 나타났다. 지난해 57.1%와 비교해 8.6%포인트 증가했다. 2020년 11월 조사에서 이 비율이 64.9%였던 것과 비교하면 비슷한 수준으로 회귀한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별로 고려하지 않는다'가 55.8%로 가장 높았고,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가 9.9%였다. 반면 '상당한 만큼 고려한다'는 29.0%, '매우 많이 고려한다'는 5.2%에 그쳤다. 2023년 4월 조사에서는 '상당한 만큼 고려한다'가 41.5%로 더 높았던 것과 비교하면 미국에 대한 신뢰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연구원 관계자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자국우선주의 정책이 강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해 대선 국면에서 이미 미국의 자국우선주의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는 추세를 보였다. '미국이 주한미군을 철수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35.6%로 2023년 4월 조사의 46.5%와 비교해 10.9%포인트 감소했다. '10년 이내 철수'라고 답한 비율은 12.3%로 2023년 4.5%와 비교해 7.8%포인트 증가했다.
'20년 이내 철수'는 15.2%로 2023년 21.1%에서 감소했지만, '30년 이내 철수'는 22.8%로 2023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50년 이내 철수'는 11.1%로 2023년 8.2%와 비교해 2.9%포인트 증가했다. 전반적으로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을 높게 보는 시각이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방위비 분담금과 관련해서는 '현 수준 유지'가 60.2%로 가장 많았지만, 2020년 11월 조사의 69.7%와 비교하면 9.5%포인트 감소했다. '분담금 축소'는 34.3%로 2020년 11월 25.3%와 비교해 9.0%포인트 증가했다. '분담금 확대'는 5.5%다.
2019년 9월 조사에서 '현 수준 유지'가 71.5%로 가장 높았고 '분담금 축소'는 24.8%였던 것과 비교하면, 방위비 분담금을 줄여야 한다는 여론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통일연구원은 "미국의 과도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에 대한 부담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