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상태'에 해당한다면, 독감 예방주사 절대 맞지 마세요
2025-10-22 20:27
add remove print link
독감 주사, 내 몸에 안전한 선택일까?
접종 전 체크해야 할 나의 건강 상태
독감 예방주사를 맞기 전에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가장 신경 써야 할 점은 체온 상승과 오한이다. 체온이 38도 이상이거나 몸살, 근육통 등 증상이 있을 때는 접종을 피하는 것이 권장된다. 주사는 면역 체계에 자극을 주어 항체를 만들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몸이 이미 질환과 싸우고 있는 상태라면 면역 반응이 분산돼 예방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증상이 심하면 접종 후 부작용을 판단하기 어려워 안전을 위해 접종을 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중증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경우
과거 독감 주사나 성분에 의해 아나필락시스 등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경험한 사람은 접종을 피해야 한다. 특히 계란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주사 성분에 소량의 계란 단백질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 후 접종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이전에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을 경험한 사람은 접종 후에도 관찰이 필요하다.
◆ 임산부의 접종 주의
임산부는 독감에 걸릴 경우 중증 합병증 위험이 높기 때문에 접종이 권장된다. 대부분의 경우 임신 2~3분기에는 안전하게 접종할 수 있으며, 산모와 태아 모두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급성 질환이나 심한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임산부는 의료진과 상담 후 접종 시기를 조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
만성 질환이나 면역억제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은 접종 전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항암 치료, 장기이식, 면역억제제 사용 등으로 면역 기능이 저하된 사람은 주사 후 충분한 면역 반응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담당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대부분의 만성 질환자는 접종이 권장되지만, 질환이 악화된 상태나 급성 감염이 동반된 시기에는 접종을 잠시 연기하는 것이 안전하다.
◆ 이전 주사 부작용 경험자
주사 후 발열, 두드러기, 호흡 곤란 등 심한 부작용을 경험한 사람도 접종 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의료진과 상담 후 다른 종류의 백신을 선택하거나 접종 시기를 조정할 수 있다. 최근에는 무세포 방식이나 계란 성분이 없는 백신 등 다양한 옵션이 있어 안전하게 접종이 가능하다.

◆ 접종 전 건강 상태 점검
가벼운 감기 증상 정도는 접종을 막지 않지만, 고열, 오한, 몸살 등 급성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접종을 연기하는 것이 좋다. 접종 후에는 국소 통증이나 경미한 발열, 피로감이 나타날 수 있으나 대부분 1~2일 내 호전된다. 이전에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호흡기 문제, 만성 질환 악화가 있었던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진에게 알리고 접종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 안전한 접종을 위한 주의사항
독감 예방주사는 개인 건강과 사회적 감염 예방 모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접종을 위해서는 개인 건강 상태, 기저 질환, 이전 부작용 경험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급성 증상이 있는 날은 접종을 피하고, 건강한 상태에서 적절한 시기에 맞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다. 올가을, 면역력을 지키고 안전하게 독감을 예방하기 위해 자신의 상태를 점검하고 전문가와 상의하는 습관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