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안 가겠다” 10명 중 8명…캄보디아 범죄에 여행심리 ‘직격탄’

2025-10-23 12:30

add remove print link

청년층 불안 극심…88.3% “영향 받았다” 응답
“정부 초동 대응 부실” 절반 이상 지적…경제 협력도 재점검 필요성 부각

“동남아 안 가겠다” 10명 중 8명…캄보디아 범죄에 여행심리 ‘직격탄’ / 리얼미터
“동남아 안 가겠다” 10명 중 8명…캄보디아 범죄에 여행심리 ‘직격탄’ / 리얼미터

[세종=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강력범죄가 발생하면서, 동남아 국가 전반에 대한 국민들의 여행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불안은 특히 심각한 수준이었고, 정부의 외교 대응에도 적잖은 비판 여론이 제기됐다.

리얼미터가 지난 10월 21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50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번 사건이 동남아 여행 인식에 영향을 미쳤는가’란 질문에 응답자 82.4%가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특히 18~29세 청년층의 경우, 무려 88.3%가 불안감이나 인식 변화가 있었다고 답해 다른 연령대보다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부의 대응 방식에 대한 선호도는 의견이 갈렸다. ‘현지 정부와의 협력 및 공조 수사’가 34.7%로 가장 많았고, ‘외교 채널을 통한 강력 항의 및 재발방지 협약’이 27.5%, ‘군사작전 등 강경 대응’ 역시 25.2%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외교부의 초기 대응에 대해선 “잘못했다”는 응답이 56.0%로, “잘했다”(35.9%)보다 18.6%포인트 높았다.

일각에서는 이전 정부에서 진행한 캄보디아 지원사업에 대해 졸속 행정이나 이권 개입 의혹이 있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이에 대한 국민 인식을 묻는 질문에는 57.0%가 ‘공감한다’고 답했다.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5.9%에 그쳤다.

향후 캄보디아와의 경제·개발 협력에 대해서는 실용적 접근이 다수를 이뤘다. 응답자 52.9%는 “협력은 유지하되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고, “즉각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도 33.0%로 적지 않았다.

이번 사건은 해외 취업 플랫폼의 구조적 허점을 드러냈다는 평가도 있다. 민간 채용 플랫폼 대응 방안으로는 ‘정부와 민간이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응답이 43.1%로 가장 높았으며, ‘정부 주도로 제도 및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도 37.3%에 달했다.

한편 2030 청년층이 이러한 해외 취업 사기에 취약했던 이유에 대해서는 ‘국내 양질의 일자리 부족’이 38.4%로 1순위로 꼽혔다. 이어 ‘임금 및 근로환경 불균형’(18.7%), ‘청년고용 정책 부재’(15.7%), ‘정보 부족’(15.0%)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무선전화 무작위 생성(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응답률은 4.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통계보정은 2025년 9월말 행정안전부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 가중값을 적용했다. (출처: 제보팀장 제공)

home 양완영 기자 top032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