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 축의금 논란' 최민희 과방위원장이 돈 돌려준 뒤 올린 글

2025-10-28 12:20

add remove print link

시민의 힘으로 정의를 세우다
악의적 정보의 위험성과 조절T세포의 교훈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자녀 결혼식 축의금 논란 속에서 피감기관 등으로부터 받은 돈을 환급한 뒤 2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의미심장한 글을 게시했다.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 뉴스1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 뉴스1

최 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노벨생리의학상과 노무현 정신, 그리고 깨시민!'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사카구치 시몬 교수의 '조절 T 세포' 연구를 언급했다.

그는 "암세포만을 공격해야 하는 우리 몸 면역세포들은 언제나 적과 나를 똑똑하게 구별해 선별적으로 공격해야 한다"고 운을 뗐다. 이어 "때로 면역세포들은 (판단력을 잃고) 내 몸 건전한 세포를 공격하는데 이게 자가면역질환이다"라고 설명을 이어갔다.

최 위원장은 이러한 의학 이론을 현 상황에 빗대어 "언론 정상화 운동하면서 늘 '악의적 허위 조작정보는 사회적 가치관을 병들게 하는 암세포'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그는 "어떤 조건에서는 교활한 암세포들이 내 몸 세포로 위장하고 조절T 세포를 유혹한다. 암세포에 세뇌당한 조절T세포는 면역세포들로부터 암세포를 방어해주고 암세포는 무럭무럭 자라게 된다"며 비유를 확장했다.

최 위원장은 "기존 항암제는 피아구분이 불가능했다. 강력한 독성 물질로 암세포를 공격해 파괴하는데 이때 내 몸 세포도 함께 망가진다"면서 "우리가 판단력을 잃지 않는 것이 핵심이며 허위 조작정보에 휘둘리지 않도록 깨어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다시 노무현 정신으로 무장해야 할 때다. 결국은 시민의 힘이다. 깨어 있는 시민으로서 우리가 똑똑한 조절T 세포의 역할을 하자"고 주장했다.

이 글은 최 위원장을 둘러싼 축의금 논란이 악의적 허위 정보에 해당한다는 입장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당 내부에서 나오는 비판까지도 '악의적 허위 정보'로 보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최 위원장은 지난 18일 국회 국정감사 기간 중 국회 사랑재에서 딸의 결혼식을 진행해 논란의 중심에 섰다. 결혼식에는 동료 정치인은 물론 과방위 피감기관과 기업들이 화환을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최 위원장은 "양자역학을 공부하느라 딸 결혼식에 신경을 쓰지 못했다"는 발언으로 논란을 증폭시켰다.

지난 26일 국회 본회의에서는 최 위원장이 딸 결혼식에 축의금을 낸 피감기관 관계자 등의 명단과 금액을 확인하며 보좌진에게 환급을 요청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이는 청탁금지법 위반 논란과 함께 개인 사적 업무를 보좌진에게 시키는 '갑질' 논란까지 불러일으켰다.

최 위원장 측은 "해당 텔레그램 메시지는 축의금을 돌려주라고 보좌관에게 지시하는 내용이었다"며 "과방위 관련 기업 등으로부터 들어온 축의금, 관례보다 많이 들어온 축의금은 반환하기로 하고 금액과 명단을 전달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야당은 즉각 반발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국정감사 대책 회의에서 "국감 기간 중 국회 안에서 결혼식을 열면서 계좌번호와 카드 결제 기능이 담긴 모바일 청첩장을 뿌리는 것 자체가 피감기관들에 대한 명백한 압박 아니겠나"라며 "피감 기관들로부터 받은 100만원은 결코 적은 금액이 아니고, 사회적 합의의 상식에도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최 위원장을 청탁금지법 위반으로 고발하기로 했다. 법률자문위원회는 뇌물죄 성립 여부도 검토 중이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지난 27일 최고위원회의 후 "굉장히 죄질이 나쁘다"며 "피감기관을 상대로 돈을 갈취한 공갈죄가 될 수도, 뇌물죄 대상이 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축의금 반환에 대해서도 "그렇다고 본인이 갈취하고 뇌물을 건네받은 걸 없던 일로 하긴 어렵다"며 "뇌물죄는 받는 순간 성립한다"고 덧붙였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28일 채널A 라디오에 출연해 "(돌려줬더라도) 김영란법 위반은 명백하다"며 "이해 관계자는 5만원까지만 축의금을 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송언석 원내대표도 지난 2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김영란법 위반 소지가 다분하고 뇌물 수수 소지도 많다고 법조계에서 말들이 많다"고 말했다.

home 윤희정 기자 hjyun@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