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 동교동 사저, 국가문화유산 된다

2025-10-30 07:57

add remove print link

민주화의 상징이자 ‘동교동계’의 발상지

한국 민주화의 상징이자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삶이 깃든 동교동 사저가 국가문화유산으로 지정될 전망이다.

서울 마포구 동교동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저에 붙은 김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 명패.  / 뉴스1
서울 마포구 동교동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저에 붙은 김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 명패. / 뉴스1

국가유산청은 서울 마포구 동교동에 위치한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했다고 지난 29일 밝혔다.

이곳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63년부터 거주해온 공간으로, 민주주의의 역사를 상징하는 장소로 평가받는다. 그는 미국 망명과 영국 유학, 일산 거주 시기를 제외하고 2009년 서거할 때까지 대부분의 시간을 이곳에서 보냈다. 군사정권 시절 55차례 가택 연금을 당했던 장소이기도 하다. ‘동교동계’라는 정치 세력의 이름이 탄생한 곳으로 이 가옥은 한 시대의 정치적 상징이자 민주화 운동의 산실로 남아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8일 열린 문화유산위원회 심의 결과, 동교동 사저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기로 조건부 가결했다. 등록 명칭은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으로 정해졌으며, 등록 범위는 대지 573.6㎡와 건물 2동(사저동·경호동)이다. 특히 대문(문패 포함)과 2층 내부공간 전체가 필수 보존 요소로 지정돼, 향후 변경 시 국가유산청의 허가가 필요하다.

2006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가 동교동 사저를 찾은 당시 현직 대통령이었던 노무현 대통령과 권양숙 여사와 환담하고 있다. / 김대중평화센터 제공, 뉴스1
2006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가 동교동 사저를 찾은 당시 현직 대통령이었던 노무현 대통령과 권양숙 여사와 환담하고 있다. / 김대중평화센터 제공, 뉴스1

현재의 건물은 김 전 대통령의 퇴임을 앞둔 2002년 기존 건물을 철거한 뒤 새로 지어진 사저로, 공적·사적·경호 기능이 함께 존재하는 공간이다. 앞서 등록된 다른 정부수반 가옥들과 달리 대통령 퇴임 이후의 생활 공간이라는 점에서 차별적인 가치를 지닌다. 단순한 개인 주거지가 아니라 국가 지도자의 일상과 근현대 정치사를 함께 품은 공간으로 평가된다.

마포구는 동교동 사저 보존을 위해 2년 가까이 노력을 이어왔다. 2019년 이희호 여사 별세 뒤 유산 분쟁이 이어졌고, 2024년 7월 사저가 민간에 매각되자 구는 새 소유주와 협의하며 보존 방안을 모색했다.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 전경 / 뉴스1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 전경 / 뉴스1

마포구는 같은 해 11월 소유자 동의를 받아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을 신청했다. 이어 ‘김대중 대통령 동교동 사저 보존추진위원회’를 구성해 가치 보존과 활용 방안을 논의했으며, 사저 인근 도로 140m 구간을 ‘김대중길’로 명예도로화해 상징성을 높였다.

이번 등록 예고로 동교동 사저는 단순한 개인의 거주지가 아닌,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역사를 품은 공간으로서 국가적 보호를 받을 길이 열렸다. 국가유산청은 30일간의 등록 예고 기간 동안 국민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유산위원회 최종 심의를 거쳐 등록을 확정할 계획이다.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 위치 / 구글 지도
home 정혁진 기자 hyjin27@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