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배송 전면 금지' 공식적으로 다뤄지자... 네티즌 반응이 심상찮다

2025-10-30 10:50

add remove print link

"생계 유지 기사들 어떡하나" "다른 업종도 다 멈추라" 폭발
일각선 "물량 맞추느라 과로... 사회 전체 워라밸 보장돼야"

쿠팡 배송 차량 / 뉴스1 자료사진
쿠팡 배송 차량 / 뉴스1 자료사진

새벽배송 전면 금지 논의가 공식적으로 다뤄지자 소비자들 사이에서 강한 반발이 일고 있다. 정부와 민주노총을 동시에 비판하는 의견이 쏟아진다. 이용자층 상당수가 맞벌이 부부와 워킹맘 등인 만큼 이번 논의가 생활 전반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다. 다만 노동자 과로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도 없진 않다.

민주노총은 최근 국토교통부 주관 ‘심야·휴일 배송 택배기사 과로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대화기구’ 회의에서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심야배송을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공식 제안했다. 택배기사의 건강권 보장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새벽배송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는 기사들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조합원들이 2024년 3월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새벽배송 확대 정책 중단과 노동자들의 건강권과 고용안정을 촉구하고 있다. / 뉴스1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조합원들이 2024년 3월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새벽배송 확대 정책 중단과 노동자들의 건강권과 고용안정을 촉구하고 있다. / 뉴스1

아이디 ‘psaj****’는 “대한민국 모든 업종이 0~5시는 문 닫아야 한다. 왜 배송만 멈추나. 발전소, 병원, 식당, 편의점 등등 모두 멈추라”고 적으며 택배업만을 규제하는 건 불합리하다고 지적했다.

‘bsa3****’은 “탁상행정인가? 엉뚱한 짓 하지 말라”고 비판했다.

현재 쿠팡 와우 회원 약 1500만 명, 컬리 월 300만 명 등 새벽배송 이용자는 2000만 명을 넘어선다. 특히 늦은 시간까지 일하는 맞벌이 부부나 어린 자녀를 둔 워킹맘에게는 생필품 확보의 필수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이런 이유로 ‘mkb2****’은 “극소수 민주노총 택배 노동자를 위해 모든 국민이 불편을 겪게 하는 정책이라니. 제정신인가? 새벽배송 사라지면 민주노총, 더불어민주당도 사라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woww****’은 “민주노총이 새벽배송 없애자고 하는데 그만큼 외국 기업에 힘을 실어주는 꼴이다. 테무, 알리도 들어왔는데 이제 쿠팡까지 무너뜨릴 건가”라며 산업 경쟁력 저하를 우려했다.

현장에서 일하는 기사들도 비슷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국물류과학기술학회 조사에 따르면 새벽배송 기사들의 70% 이상이 ‘교통 혼잡이 적다’, ‘수입이 높다’, ‘낮 시간에 개인 시간을 쓸 수 있다’ 등의 이유로 야간 근무를 선호한다고 답했다.

‘ahnh****’은 “참 할 짓 없다. 그냥 새벽에 안 하고 낮에 일하면 되는 것인가. 교통체증이나 엘리베이터 혼잡 피하려는 이유도 있는데 생각 좀 하라”고 지적했다.

반면 일부는 노동자의 건강권 보호 필요성을 강조했다. ‘wwat****’은 “새벽배송은 기업 마케팅일 뿐이다. 노동자들은 과도한 물량을 맞추느라 과로한다. 택배노동자의 노동환경 개선을 시작으로 사회 전체의 '워라밸'이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야간노동은 노동자 건강을 해친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2007년 야간노동을 '인간의 생체리듬을 어지럽힐 수 있는 발암물질'로 규정한 바 있다

업계는 이번 논의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결정이라며 우려를 표한다. 실제로 다수의 택배기사가 야간배송을 선호하고 소비자들 역시 새벽배송에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야간배송을 전면 금지하면 일자리 상실, 소득 감소뿐 아니라 맞벌이 부부 등 국민의 불편을 초래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일각에선 새벽배송이 이미 생활 인프라로 자리를 잡은 만큼 전면 금지보다는 근무시간 조정, 교대제 개선, 자동화 확대 등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사안을 두고 정치권에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도 “민노총 주장대로 새벽배송이 금지되면 맞벌이 부부를 비롯한 2000만 명의 일상생활과 소상공인들의 생계가 망가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