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핵추진 잠수함 도입으로 진보·보수 모두 포섭"
2025-10-30 12:26
add remove print link
윤태곤 "국내 정치에도 파급 크다"

이재명 대통령이 핵추진 잠수함 도입을 추진하며 진보와 보수 모두의 지지를 동시에 얻는 정치적 효과를 거뒀다는 분석이 나왔다.
윤태곤 의제와전략그룹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30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이 대통령이 핵잠 추진 승인을 받은 건 진보·보수를 쌍끌이한 사례”라고 말했다.
윤 실장은 “핵추진 잠수함 문제는 김영삼 정부 때부터 30여 년간 이어져 온 숙원이었다”며 “이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직접 요청해 승인받은 건 놀라운 일”이라고 했다. 이어 “이 문제는 진보와 보수를 모두 포섭할 수 있다. 진보 진영에는 ‘미국에도 할 말 하는 대통령’이라는 인식이, 보수 진영에는 ‘탈원전 기조 속에서도 실용적으로 일하는 대통령’이라는 인식이 생긴다”고 말했다.
윤 실장은 “이번 합의는 단순한 외교 이슈가 아니라 국내 정치에도 파급이 크다”며 “대통령 지지율이 오를 가능성이 높고, 관세 협상 성과와 더해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무정쟁 주간’을 제안한 데 대해서는 “야당을 향한 제안이라기보다 내부를 향한 메시지”라고 분석했다. 그는 “정 대표가 추석 이후 발언을 줄였고, 당 내부에서도 ‘너무 세게 나간다’는 지적이 있었다”며 “APEC 기간 대통령의 외교 행보에 맞춰 내부 기류를 조정하려는 의미로 보인다”고 했다.
윤 실장은 민주당 소속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국정감사 기간 국회에서 딸 결혼식을 올린 논란에 대해서는 “문제보다 문제를 다루는 방식이 더 문제였다”고 했다. 윤 실장은 “유감스럽다고만 했으면 끝날 일이었는데 ‘양자역학 공부하느라 못 봤다’, ‘딸이 다 했다’ 등 해명이 오히려 일을 키웠다”고 말했다. 이어 “정 대표가 직접 전화를 했다는 보도도 있었지만, 최 위원장이 ‘노무현 정신’을 언급하며 갈등을 확대한 측면이 있다”고 했다.
윤 실장은 “정부와 여당이 APEC을 계기로 모드 전환을 꾀할 가능성이 크다”며 “핵추진 잠수함 합의와 관세 협상 성과를 중심으로 국정 기조를 새롭게 정비하려는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부동산 여론에 대해서는 “이번 대책이 서울 시민 여론조사에서 부정적 평가를 받았다”며 “대통령 지지율이나 여야 지지 구도와 달리 부동산 여론은 별개의 문제로, 여야를 막론하고 불만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집권 세력이 강남에 집을 보유한 사례가 반복되면서 국민의 피로감이 누적돼 있다”고 지적했다.
윤 실장은 “국토교통부 차관과 민주정책연구원장, 금감원장 등이 잇따라 사퇴한 것도 부동산 관련 논란과 무관하지 않다”며 “정부와 여당이 신뢰 회복을 위해선 몸을 가볍게 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경제가 어렵지만 주식시장이 버티고 있어 그나마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부동산 정책은 단기간에 마무리될 수 없는 문제”라며 “정책 신뢰를 회복하는 게 우선이며, 연말 공급 대책이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했다.
윤 실장은 지방선거와 관련해선 “현재 정치적으로 가장 이득을 본 인물은 오세훈 서울시장”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토지거래허가제 논란 때 실점을 했지만 이번 부동산 논쟁에서 득점을 했다”며 “박원순 전 시장 시절과 비교하며 입지를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